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대장 용종 정밀 분류 AI 시스템 개발

조회수 : 94 작성일 : 2025-07-17

서울대병원, 대장 용종 정밀 분류 AI 시스템 개발
- 주요 용종과 더불어‘소수 유형 용종’ 감지 가능한 대장내시경 CAD 시스템
- ‘불확실성’ 정보 제공해 전문의가 신뢰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대장 용종의 조기 진단은 대장암 사망률을 낮추는 주요 요인이다. 그러나 이제껏 개발된 대장내시경 진단 보조 시스템은 발생이 드문 소수 유형의 용종을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러한 용종까지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보조 시스템을 개발했다. 특히 이 시스템은 분류 결과의 신뢰 수준도 정밀하게 제시할 수 있어, 전문의의 신속하고 정확한 임상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이동헌·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김형신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4개 의료기관 및 공개 데이터셋에 등록된 약 3,400건의 대장내시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 및 검증을 실시해 대장내시경 컴퓨터 진단 보조 시스템 ‘ColonOOD’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최근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국내 암 발생률 2위, 사망률 3위를 차지하는 주요 암종이다. 다만, 대장내시경으로 용종을 신속하고 정확히 진단할 경우 대장암 사망률을 최대 53% 낮출 수 있다고 알려졌다. 대장 용종은 주로 ‘선종성 용종(고위험)’과 ‘과형성 용종(저위험)’으로 구분되며, 현재 대장내시경 검사에는 이런 유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컴퓨터 보조 시스템(CAD)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은 대부분 용종을 2가지 주요 유형으로만 구분할 수 있어, 발생 빈도가 드물거나 새로운 용종을 검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한 적 없던 소수 유형의 용종 감지 기능(OOD, Out-of-Distribution)을 탑재하여, 의료진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 새로운 진단 보조 도구가 필요했다.

이에 연구팀은 대장내시경 영상을 바탕으로 용종의 위치와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진단 보조 시스템 ‘ColonOOD’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주요 용종의 분포를 학습하여 소수 유형 용종의 분포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췄다. 또한, 용종 분류 시 기존 모델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분류 결과의 신뢰 수준(High, Low)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내시경 전문의의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자료] ColonOOD 개요
[자료] ColonOOD 개요. ColonOOD는 용종의 위치를 찾은 후, 확실한 고위험 용종(선종성 용종)을 분류한다. 이후 불확실한 용종은 추가적으로 소수 유형 여부를 분석하여, 저위험 용종(과형성 용종)과 모델이 학습하지 않은 소수의 용종으로 구분한다.


이를 이용하면 1차적으로 고위험 용종을 분류해낼 수 있다. 그 외 유형일 경우, 추가 분석 모델이 작동해 저위험 용종과 잠재적 위험이 있는 ‘소수 유형 용종’을 구분한다. 이 같은 분류 성능을 4개 의료기관(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이대서울병원)의 데이터와 2개 공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검증한 결과, 전체 용종을 최대 79.7%의 정확도로 분류했으며, 전체 소수 유형 용종 중 최대 75.5%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onOOD는 용종의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해 확실한 고위험 용종을 선별하고, 분류가 불확실한 용종은 다시 한 번 정밀하게 분석하여 소수 유형 해당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진단의 신뢰성을 높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동헌 교수(영상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기존 AI 기반 대장내시경 진단 보조 시스템에 소수 유형의 용종 감지 모듈을 통합한 최초의 연구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ColonOOD의 예측 결과를 활용하면 임상의가 신뢰수준에 따라 진단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실제 임상 환경을 반영한 ColonOOD은 의료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전향적 연구 및 다기관 연구로 확장하여 활용 가능성을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IF; 7.5)’에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영상의학과-이동헌·서울대-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김형신-교수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이동헌·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김형신 교수

홈페이지 오류신고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진료과 및 의료진 추천이나 진료일정 및 상담 문의는 진료 예약센터로 전화해 주십시오. 예약센터 : 1588-5700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

만족도 통계

만족도 통계(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