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한 신장 피질 부피 측정으로 기증 후 신기능 손실 예측
- 수술 전 CT 이미지 활용한 AI 기반 자동 분할 신장 피질 부피 측정 모델 개발
- 수술 전 신장 피질 부피 클수록 기증 후 신기능 감소 적어...신기능 예측 지표로 활용
- 고령 기증자 예후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보다 안전한 기증 결정 지원
| 
 | 
 | 
|---|---|
| [그림1] 연구팀(좌측) 및 AI(우측)가 그린 신장 피질. AI 모델이 실제 신장 피질 부피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 | [그림2] 신장 기증 후 신기능 변화. 고령 기증자(빨강)는 젊은 기증자(파랑)에 비해 기증 후 초기 1~3년 동안 신기능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민상일 교수, 중앙대병원 이식혈관외과 조은아 교수](http://www.snuh.org/upload/editor/images/000083/20240826095507228_8QR8O63D.jpg)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민상일 교수, 중앙대병원 이식혈관외과 조은아 교수
![[그림1] 연구팀(좌측) 및 AI(우측)가 그린 신장 피질. AI 모델이 실제 신장 피질 부피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http://www.snuh.org/upload/editor/images/000083/20240826095306838_WBI4ZM0U.jpg)
![[그림2] 신장 기증 후 신기능 변화. 고령 기증자(빨강)는 젊은 기증자(파랑)에 비해 기증 후 초기 1~3년 동안 신기능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http://www.snuh.org/upload/editor/images/000083/20240826095334700_6WXF434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