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 ‘목소리 이상’ 후유증 막아
“목소리 변화, 수술 후 삶의 질에 큰 영향… 신경 모니터링 보다 확대돼야”
최근 한 연예인이 TV프로그램에서 갑상선암 수술 후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고생했던 사연을 소개했다. 그는 감정이 격해져 울기도 했지만, 울음소리조차 안 나와 힘들었다고 말했다.
갑상선암 수술 후 후두신경 손상을 걱정하는 환자가 많다. 후두신경은 목소리를 만들어내는 신체기관인 성대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되돌이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으로 구분한다. 이 신경들이 손상돼 나타나는 성대마비는 갑상선암 수술의 가장 흔하면서 치명적인 후유증이다.
되돌이후두신경이 마비되면 성대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아 쉰 목소리가 나온다. 손상이 심한 경우, 좌우 성대 모두 운동이 어려워 호흡곤란 등의 응급상황을 겪기도 한다. 미국 내분비외과 교과서에 따르면 갑상선 절제술 후 환자의 2.5~5%에서 일시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비가, 1~1.5%에선 영구적 마비가 나타난다.
상후두신경은 굵기가 1mm 이하로,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 수술 중 손상 빈도가 5~24%에 이른다. 상후두신경이 손상되면, 고음 발성 장애 및 목소리의 피로가 쉽게 찾아온다. 특히 연예인, 성악가, 교사 등 목소리를 많이 쓰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이다.
서울대병원은 후두신경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2009년부터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신경 모니터링은 되돌이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에 0.5-3mA의 미세한 전기 자극을 주고, 이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근전도)를 측정해, 신경의 기능 및 성대마비의 유무를 확인하는 최신 의료기술이다.
유방내분비외과 김수진 교수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갑상선수술 중 신경모니터링을 활용하니 일시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비는 1.8%, 영구적인 되돌이후두신경 마비는 0%로 줄었다.
상후두신경도 수술 3개월 후 기능평가에서 수술 전과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수진 교수는 “수술 후 삶의 질에서 목소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며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을 하면 갑상선을 깨끗이 절제하면서도, 후두신경은 완벽히 보존할 수 있는 만큼 의료 현장에서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수는 2015년 ‘갑상선 수술 중 상후두신경 모니터링의 우수성’이란 주제의 연구로 국제 종양성형내분비외과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고, SCIE급 국제 학술지에도 ‘되돌이후두신경 및 상후두신경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