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2명 중 1명은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임신성 당뇨병 여성의 2명 중 1명은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인슐린 분비 기능 저하 시 출산 후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이 빨라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 박경수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장학철 교수팀이
임신성 당뇨병 여성은 출산 후에도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할 확률이 매우 높으며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데 유전적 소인이 관여함을 규명하였다.
연구팀은
임신성 당뇨병 여성 843명을 장기간 추적한 결과 12.5%는 출산 직후에도 당뇨병이
없어지지 않고 바로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함을 확인하였다. 이후에는 매년 약 6.8%의
여성들이 당뇨병으로 진행하여 출산 후 8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50%에서 제2형 당뇨병이
발병하였다. 출산 이후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데 있어서는 비만, 임신 중 고혈당,
인슐린 분비 능력 저하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출산 후 조기에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한 사람들과 출산 1년 이후에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한 사람들의 임상적, 유전적 특성이 다름을 규명하였다.
조기에
당뇨병으로 진행한 사람들은 1년 이후에 당뇨병으로 진행한 사람들에 비하여 임신
중 혈당 상승이 심하였으며 인슐린 분비 능력이 25% 정도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조기에 당뇨병으로 진행한 사람들은 제2형 당뇨병 및 인슐린 분비 능력 저하와 관련된
CDKN2A/2B, HHEX 유전자의 변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가장 큰 규모의 임신성 당뇨병 여성 추적 연구 중에 하나인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이후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과 그와 관련된 임상적, 유전적 요인을
정밀하게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곽수헌 교수는 “임신성
당뇨병 여성은 출산 후 6-8주 사이에 반드시 경구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혈당이
정상화 되었는지 확인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제2형 당뇨병이 발병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 며 “이번 연구 결과로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제2형 당뇨병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예방법을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본 연구결과는 미국내분비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년 3 월 7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