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상복부 초음파 검사
[abdomen ultrasonography]

한 줄 설명

상복부에 위치한 간, 담낭, 담도, 췌장, 비장을 초음파로 평가하는 검사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영상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간, 담낭, 담도, 췌장, 비장

정의

상복부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상복부에 대고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검사이다. 간편하고,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상복부 증상이 있을 때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복부 초음파 검사는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가 어려운 임신부나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도 시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유도 하에 중재적 시술(복수/농양의 흡인 및 배액, 간 조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류

상복부 초음파 검사, 간 초음파 검사, 간 도플러 초음파 검사가 있다.

검사주기

급성 혹은 만성 복통, 복부의 종괴, 체중 감소, 복부 불쾌감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나 간기능 검사 이상이 있을 때 검사를 받는다. 만성 B형 간염 또는 만성 C형 간염 환자 등 간암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간암 감시검사로서 6개월마다 상복부 초음파를 시행한다.

준비사항

성인의 상복부 초음파 검사는 6시간, 가능하면 8시간 이상의 공복이 필요하다. 섭취한 음식물과 삼킬 때 들어가는 공기가 위장관에 차 있으면 췌장이나 하부담관 또는 담낭 검사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날 오전에 검사가 있다면 전날 저녁식사는 10시 이전에 가볍게 먹고 검사 전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나 껌은 공기를 장관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을 먹는 것보다 더 검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소아는 6시간, 영유아는 4시간 공복이 필요하다. 검사 당일 위장관 조영술이나 내시경 검사가 있다면 이들 검사 시 주입되는 수분과 공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초음파 검사를 먼저 시행하는 것이 좋다.

검사방법

우선 검사 부위의 복벽에 초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젤을 바르고 일반적으로 바르게 누운 자세에서 검사가 진행된다. 배를 내밀면 상복부에 위치한 간, 비장, 담낭 등이 갈비뼈 아래로 내려와 검사하기가 쉬워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돌아눕거나 등 뒤 바닥에 손을 받치고 비스듬히 앉은 자세에서 검사하기도 한다.

소요시간

대개 5~15분 정도 소요된다.

주의사항

검사 중 의사의 지시에 따라 호흡을 조절하고 자세를 유지, 변경하는 등 협조한다. 상복부 장기는 위장관 공기에 가려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하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호흡과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

초음파 검사는 실시간 검사로 검사자가 바로 소견을 평가하여 결과를 알려줄 수 있으나 환자의 임상 소견 및 피검사, 다른 영상 검사(CT, MRI)와 같이 평가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모든 검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과를 듣는 것이 좋다. 초음파 검사 후 악성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모호한 경우 대개 CT나 MRI와 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감별 진단 및 병변의 범위, 주변 장기와의 관계, 다른 장기의 병변을 평가해야 한다.

상복부 초음파 영상

부작용/후유증

간혹 위를 잘 보기 위해 물로 위를 채우는 경우 불편감이 있을 수 있고,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탐촉자로 배를 압박할 때 경도의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초음파 젤이 이물감을 줄 수 있으나 검사 후 닦아내면 문제가 없다.

진단질병

급성 혹은 만성 간염, 복부 장기의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 복수, 농양, 담낭염 및 담도염과 결석, 급성 혹은 만성 췌장염

관련검사법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 복부 자기공명영상(MRI)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