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초경
[Menarche]

한 줄 설명

첫 생리

진료과

소아청소년과

관련
신체기관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자궁

관련 질병

 

정의

초경은 첫 번째로 나타나는 생리 주기를 말한다. 대부분의 여아에서 사춘기 첫 징후인 유방 발달이 시작되고 2~3년이 지난 후 성 성숙도 4단계에서 나타난다. 평균 초경 나이는 인종, 국가,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라 다양하다. 각 개인에서는 체중, 영양상태, 만성질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유전적인 영향이 커서 어머니와 딸의 초경 나이는 관련이 깊다. 국내에서 1920년대에 출생한 여성은 초경 나이가 만 16.5세였으나, 1980년대에 출생한 경우 13.1세, 1990년대에 출생한 경우 12.6세로 점차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원인

사춘기가 진행하면서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이 성숙해지면 초경이 나타나게 된다.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선자극호르몬인 황체화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과 난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분비를 조절한다. 성선자극호르몬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Estrogen, 에스트로겐) 분비를 증가시키고, 난자를 성숙시켜 배란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월경 주기가 형성되게 된다.

증상

초경은 배란은 없이 자궁 내막에 대한 에스트라디올의 작용으로 인한 출혈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초경 이후 2~3년 동안은 배란이 잘 일어나지 않고 생리 주기가 불규칙할 수 있으며, 생리통은 대부분 초경 이후 1년 이상 경과한 이후에 나타나게 된다.

경과/합병증

초경 이후 2~3년 동안은 생리 주기가 불규칙할 수 있으며, 특히 초경이 시작되는 나이가 늦을수록 생리 주기가 안정되는데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생리는 나이가 들 수록 점차 규칙적이 되며, 초경 이후 3년이 경과하면 21~35일 주기로, 3~7일의 기간 동안 생리를 하게 된다. 대부분의 여성들에서 만 19~20세 경에는 본인의 생리 주기가 정해진다. 여아에서 사춘기 징후가 시작되고 4년이 지난 이후에도 초경을 하지 않는 경우 1차성 무월경이라고 한다. 초경 이후 규칙적인 생리를 하던 사춘기 여아가 3번의 주기 이상 생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2차성 무월경이라고 한다. 무월경을 보이는 경우에는 신체 진찰, 성선자극호르몬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및 골반 초음파 등의 정밀 검사와 평가가 필요하다.

관련질병

성조숙증, 무월경, 사춘기 지연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