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상아질 과민증
[Dentin hypersensitivity]

한 줄 설명

상아질 노출로 인한 시린 증상

진료과

치과병원

관련
신체기관

구강(치아)

관련 질병

 치아우식, 치경부 마모증, 치수질환, 잇몸질환, 잇몸퇴축

정의

상아질(치아 머리부위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조직인 법랑질과 치아 뿌리부위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백악질 하부에 위치하며 치수(신경조직)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이전에는 민감하지 않던 정도의 자극들(냉자극, 기계적 자극 등)에 대하여 치아가 시린 증상

잇몸퇴축, 잇몸과 치아의 경계부위 마모로 노출된 상아질

원인

1. 치주조직의 손실(잇몸질환, 잇몸퇴축) 2. 법랑질(치아 머리부위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조직) 또는 백악질(치아 뿌리부위에서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조직) 상실: 치아우식 또는 교모(attrition), 마모(abrasion), 침식(erosion) 작용 등에 의해 나타남.

증상

냉자극, 증발, 접촉, 삼투압, 화학적 자극 등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노출된 상아질에서 일어나는 짧고 예리한 통증

진단/검사

[진단] 냉자극, 증발, 접촉, 삼투압, 화학적 자극 등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노출된 상아질에서 일어나는 짧고 예리한 통증 [검사] 방사선 사진, 시진, 한냉 검사

치료

자극을 줄이고 치아가 자극에 적응할 수 있도록 경과를 관찰하면서 과민증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도록 기대하는 방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치료보조제로 과민증을 보이는 치아에 지각과민둔화제가 포함된 시린이 전용 치약을 사용하기도 하며 또한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시린 증상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노출된 부위에 지각과민처치제를 도포하기도 한다. 잇몸과 치아의 경계부위가 패인 경우에는 복합레진과 같은 재료로 패인 부위를 채워서 노출된 상아질을 막아주는 방법도 있다. 수복 치료 후에도 치아의 시린 증상이 매우 심하게 지속되는 경우에는 치수를 제거하는 근관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경과/합병증

노출된 상아질은 법랑질보다 마모가 쉽게 되므로 치아에 홈이 생길 수 있으며 패인 상태를 방치하면 음식물 잔사나 세균이 침착하여 치아 우식을 야기할 수 있으며, 마모가 더욱 진행되면 치아가 부러지거나 치수가 노출되어 심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치수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방법

올바른 칫솔질, 적절한 치약 선택, 구강 위생 관리, 정기적인 치과 내원

식이요법/생활가이드

냉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시린이 전용 치약 사용, 과도한 자극 피하기, 올바른 칫솔질

관련질병

치아우식, 치경부 마모증, 치수질환, 잇몸질환, 잇몸퇴축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