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의학정보

잠복고환
[Cryptorchidism]

한 줄 설명

태어나기 전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못한 상태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비뇨기과

관련
신체기관

고환, 음낭

관련 질병

미하강고환, 고환암

정의

잠복고환은 태어나기 전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잠복고환의 빈도는 미숙아나 출생 시 저체중아에서 높다. 1세 이후에도 고환의 정상적인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이후에는 자연적으로 내려오지 않는다. 잠복고환의 발생에 가족력이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직접적으로 염색체 이상이나 유전적으로는 연관이 없다. 잠복고환은 향후 불임, 고환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원인

잠복고환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고환길잡이(고환도대), 샅굴(서혜관), 정관, 정계혈관, 음낭 등에 이상이 있으면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한다. 이외에도 고환 자체의 이상으로 고환이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고환이 정상 하강하지 못한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양측성 잠복고환의 원인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증상

음낭에서 고환이 만져지지 않는다. 이런 경우 배, 샅(서혜부), 음낭앞쪽 등 다른 부위에서 하강하지 못한 고환이 고형 덩어리 형태로 만져지기도 한다. 복강 안쪽 깊숙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서도 만져지지 않을 수 있다.

잠복고환으로 좌측 고환이 음낭 내에 없음

잠복고환으로 좌측 고환이 음낭 내에 없음

진단/검사

신체검사상 음낭에서 고환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 잠복고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고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촬영술, 전산화 단층 촬영술, 자기공명 영상법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음낭의 양쪽에서 모두 고환이 만져지지 않으면 호르몬 이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인체 융모 성선자극 호르몬(hCG) 검사를 할 수 있다.

치료

보통 1세까지는 기다려 볼 수 있으며, 양측성인 경우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1세 이전에라도 조기 수술을 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수술은 고환을 당겨서 음낭내의 정상 위치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고환고정술로 고환을 아래로 위치시키는 과정

고환고정술로 고환을 아래로 위치시키는 과정

경과/합병증

합병증으로 서혜부 탈장, 정계 염전(고환이 회전하여 정맥이 꼬인 상태) 등이 생길 수 있고, 향후 성인이 되어서 불임, 고환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고환암 환자의 10%가 잠복고환에서 발생한다. 잠복고환이 한쪽에만 있어도 불임의 위험이 증가하는데, 고환 조직의 변화가 생기기 전 조기에 치료하면 불임의 빈도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방방법

이 질환은 예방하는 것 보다 증상이 있을 때 빨리 병원에 내원하셔서 전문가와 상의 후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생후 아이가 고환이 정상 위치에서 만져지지 않는다면 빨리 병원에 내원하셔서 전문가와 상의 후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질병

미하강고환, 고환암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