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의학정보

수면다원 검사
[polysomnography]

한 줄 설명

수면 중 발생하는 여러 가지 비정상적인 상태를 진단하려고 여러 기구를 이용하여 수면 중 상태를 기록, 분석하는 검사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신경과

관련
신체기관

정의

수면 중에 발생하는 질환은 보통 일반적인 질환처럼 한 장기의 문제라기보다는 여러 장기의 복합적인 문제로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수면 중 질환들을 진단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검사 장비들이 동원되는데, 뇌기능 상태를 알기 위한 뇌파 검사(EEG), 눈 움직임을 보기 위한 안전도 검사(EOG), 근육 상태를 알기 위한 근전도 검사(EMG), 심장 리듬을 보기 위한 심전도(ECG), 전체적인 상태를 보기 위한 비디오 촬영 등을 같이 시행하면서 대개 하룻밤 정도 수면을 취하면서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의 장점은 인체에 방사선 등의 노출이 없는 안전한 검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룻밤의 장기간 검사를 하기 때문에 수면 중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뇌파 검사(EEG)

뇌파 검사(EEG)

종류

뇌기능 상태를 알기 위한 뇌파 검사, 눈 움직임을 보기 위한 안전도 검사, 근육 상태를 알기 위한 근전도 검사, 심장 리듬을 보기 위한 심전도, 전체적인 상태를 보기 위한 비디오 촬영 등의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주기

특별한 검사 권고 주기는 없다.

준비사항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평상시처럼 자연스러운 상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즉 검사 전날 평소와 다른 수면 행태, 과도한 음주 등은 검사하는 날의 수면 양상에 변화를 주어 정확한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삼간다.

검사방법

1. 하룻밤 검사실에서 잠을 자면서 하는 검사이기 때문에, 당일 저녁 즈음에 검사실에 방문한다. 2. 대개의 경우 검사에 앞서 수면 중 장애에 대한 기본 자료로 삼기 위하여 환자에게 수면 중 증상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거나 의사와 면담하게 된다. 3. 환의로 갈아입은 후, 검사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부착한다. 일반적으로 뇌파, 안전도, 근전도, 호흡 모니터링, 서미스터(thermister), 심전도, 코골이 마이크 등을 장착하게 된다. 4. 검사실에는 보통 수면 검사를 위한 별도의 수면실이 마련되어 있다. 수면실에는 침대와 상태 촬영을 위한 비디오가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하룻밤 숙박을 위한 기본적인 편의 시설과 화장실이 있다. 5. 수면을 하기 전 검사 장비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부착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몇 가지 검사를 한다. 6. 본격적으로 수면을 취한다. 7. 아침이 되어 잠에서 깨고 검사 장비들을 다시 떼내면 검사가 종료된다.

기본적인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는 모습

기본적인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는 모습

소요시간

평균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1. 기본 설문지 작성 : 30분 2. 검사 준비, 환의, 장비 부착 : 30분~1시간 3. 수면 검사 시행 : 10시간 정도

주의사항

검사 중에는 여러 가지 장비들을 붙인 채로 하룻밤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급한 일은 미리 처리하거나 나중으로 미루어 평상시의 수면 상태가 그대로 기록될 수 있게 해야 한다.

결과

검사결과는 수면다원검사기록(polysomnogram)이라는 출력으로 나오게 된다. 이것은 많은 검사 장비에서 나온 기록들을 시간대별로 정렬하여 기록해놓은 것이다. 이것을 여러 연구를 통하여 미리 정해놓은 수면 단계, 수면 상태, 수면 중 코골이나 다리 움직임 등에 대한 기록, 심박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진단을 하게 된다.

부작용/후유증

검사 장비들을 붙이기 위하여 접착 도구들을 많이 쓰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불편함 및 피부 알레르기 등이 생겨날 수 있다.

진단질병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 syndrome), 주기성 사지운동장애(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기면증(Narcolepsy)

관련검사법

뇌파검사, 근전도검사, 심전도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