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ABO 혈액형 검사
[ABO typing]

한 줄 설명

ABO 혈액형의 종류를 확인하는 검사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진단검사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혈액

정의

ABO 혈액형의 종류를 확인하는 검사를 말한다. 1) ABO 혈액형 ABO 혈액형은 크게 A, B, AB, O 형 네 가지로 분류되며, ABO 혈액형 검사를 통해 대상자의 ABO 혈액형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형은 혈액 내에서 산소 운반을 담당하는 적혈구라는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한 구조물을 기준으로 하여 형성된 분류이다. 적혈구 표면뿐만 아니라 상피세포나 내피세포, 심지어 체액에서도 혈액형의 항원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혈액형은 우리가 자주 들어서 흔히 알고 있는 ABO, Rh 외에도 Lewis, P, MNSs, Kell, Duffy, Kidd, Xg, Diego 등 수많은 종류의 혈액형 항원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ABO 혈액형이 널리 알려진 이유는 그만큼 수혈 과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수혈 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수혈자의 혈청 내에 존재하는 항체와 수혈 받는 혈액의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과의 반응인데, ABO 혈액형이 중요한 것은 반드시 항체가 있을 것이라 예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시스템인 면역체계가 있으며, 항원항체 반응은 여러 종류의 면역 기전 중 하나이다.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체내로 들어오면 우리 몸은 침입자의 표면 혹은 내부의 특정한 물질(항원)을 인지하여, 이에 대해 선택적으로 대항하여 공격할 수 있는 무기와도 같은 물질(항체)을 생산한다. 내 자동차는 나의 열쇠로만 시동을 켤 수 있듯이 항원항체 반응은 매우 특이적이며, 항체는 항원을 둘러싸서 우리 몸이 외부 침입자에 대한 공격을 개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알려준다. ABO 혈액형의 종류를 결정짓는 적혈구 표면의 특정한 구조물은 이러한 항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ABO 항원에 대한 항체는 혈액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세포성분을 제외한 액체성분인 혈청 내에 존재한다. 이처럼 혈액형 분류의 기준이 되는 적혈구 표면의 구조물들은 ABO 혈액형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혈액형에서도 모두 항원으로 작용한다. A형인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는 A항원이 존재하고, 혈청 내에는 B항원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항B 항체(anti-B)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B형인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는 B항원이 존재하고, 혈청 내에는 A항원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항A 항체(anti-A)가 존재한다. A형인 사람이 B형인 사람의 혈액을 수혈 받으면, A형인 사람의 혈청 내에 존재하는 항B 항체가 수혈된 B형 혈액의 적혈구 표면의 B항원을 인지하게 되어 항원항체 결합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반응은 A형인 사람의 면역체계가 B형인 사람의 혈액을 결국 ‘내 것’이 아닌 ‘남의 것’으로 인식하게 하여 공격을 시작해,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과 같은 위태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ABO 혈액형이 다른 혈액형보다 중요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항원에 대한 항체는, 그 항원에 대해 우리 몸이 체험을 하고 나서야 관련된 정보가 면역시스템 내에 저장되어 항체를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항체를 ‘면역 항체(immune antibody)’라 부르며, RhD 혈액형에 대한 항D 항체가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ABO 혈액형에 대한 항체는 이와 달리, A형인 사람이 B형 혈액을 수혈 받지 않아도 항B 항체를 형성하는 것처럼, 특정한 항원에 대한 아무런 면역학적 자극이 없어도 항체가 체내에 형성되며 이러한 항체를 ‘자연 항체(naturally-occuring antibody)’라 부른다. 이러한 자연 항체의 하나인 ABO 혈액형 항체가 형성되는 기전으로서, ABO 항원과 같거나 유사한 물질들을 우리 주변의 세균이 가지고 있어 살아가는 동안 이에 대해 노출이 되면서 형성된다는 주장이 있다. 이 때문에 성인들은 혈청 내에 ABO 혈액형 항체를 가지고 있지만, 신생아들은 항체의 양이 적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A형인 사람은 거의 대부분 항B 항체가 있고, B형인 사람은 항A 항체가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ABO 혈액형 항체를 ‘예기 항체(expected antibody)’라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O형인 사람은 항A, 항B 항체가 모두 있고, AB형인 사람은 항A, 항B 항체가 모두 없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A항원과 B항원이 모두 없는 O형 적혈구는 A, B, AB, O형 모두에게 수혈될 수 있고, 항A 항체와 항B 항체가 모두 없는 AB형인 사람은 모든 종류의 혈액형 적혈구를 수혈 받을 수 있다. O형 적혈구 제제 속에도 항A 항체와 항B 항체가 소량 포함되어 있으나, 그 양이 많지 않고 수혈 받은 환자의 혈액 속에서 희석되어 대부분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동일한 혈액형끼리 수혈하는 것이 언제나 대원칙이다. 2) Cis-AB 혈액형 우리 몸의 세포는 22개의 상염색체와 1개의 성염색체를 부모 각각으로부터 1쌍씩 물려받아 총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ABO 혈액형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22개의 상염색체 중 9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다. 즉 부모로부터 A, B, O 세 가지 종류의 유전자 정보를 각각 이어받아 그 조합에 따라 표현되는 ABO 혈액형의 종류가 달라진다. A형 적혈구는 표면에 A항원을 가지고 있고, B형 적혈구는 표면에 B항원을 가지고 있으나 O형 적혈구는 표면에 A항원과 B항원 둘 다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A형인 사람은 양측 부모로부터 A유전자를 받았거나(A/A), 한 쪽은 A 나머지 한 쪽은 O를 받은 경우(A/O)가 된다. 마찬가지로 B형인 사람은 유전자형이 B/B 혹은 B/O가 되며, AB형은 A/B, O형은 O/O가 된다. 그러나 A/B형인 부모의 세포가 분열 과정 중 9번 염색체가 서로 맞물려 정보를 교환하는 상황(unequal crossing-over)이 발생하면 한 염색체에 A와 B에 대한 유전자가 모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A와 B 유전자가 함께 자식에게 모두 유전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ABO 혈액형의 유전 양상과 달라지게 된다. Cis-AB인 사람과 O형인 사람 사이에서 AB형이 태어날 수 있고, Cis-AB형인 사람과 A형(A/O)인 사람 사이에서 O형이 태어날 수 있어 가족 간에 혈액형으로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Cis-AB 혈액형인 사람은 A항원 혹은 B항원의 표현형이 약한 경우가 많고, AB형임에도 불구하고 항A 항체나 항B 항체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ABO 혈액형 검사에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통보 받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Cis-AB가 의심되는 경우, 가족 중 다른 사람에게도 해당 유전자가 있을 수 있어 가족간의 혈액형 유전 양상이 일반적이지 않고, 본인의 경우 향후 수혈 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혈액은행 전문의의 상담을 받고 분자진단검사를 통한 ABO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ABO 혈액형에서의 수혈

종류

1) ABO 혈액형 분자진단검사를 통하여 유전자 수준에서의 ABO 혈액형을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ABO 혈액형 검사라 함은 적혈구 표면의 ABO 항원과 이에 대한 혈청 내의 항체와의 반응을 이용한 검사이다. 즉, ABO 혈액형 검사는 이처럼 적혈구 표면의 A 혹은 B항원과 항A(anti-A) 혹은 항B(anti-B) 항체와의 선택적인 결합 반응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2) Cis-AB 혈액형 분자진단검사를 통한 ABO 유전자형을 확인한다.

검사주기

정해진 검사 주기는 없다. 헌혈 전이나 수혈 혹은 수술과 같이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치료 과정 전에 시행되며, 그 외에 본인의 혈액형 종류에 대한 상식 수준의 지식으로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준비사항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다.

검사방법

ABO 혈액형 검사는 검사 대상자의 적혈구에 어떠한 항원이 있는지 확인하는 혈구형 검사와, 검사 대상자의 혈청에 어떠한 항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혈청형 검사가 있다. 혈구형 검사는 미리 준비된 항A 항체와 항B 항체가 각각 포함된 시약을 검사 대상자의 적혈구와 유리 시험관 내에서 혹은 플레이트 위에서 반응을 시켜, 응집이 일어나는지 육안으로 관찰한다. 검사 대상자의 적혈구가 항A 항체와 반응을 하여 응집이 일어나면 적혈구 표면에 A항원이 존재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항B 항체와 반응을 하여 응집이 일어나면 적혈구 표면에 B항원이 존재하는 것이다. 혈청형 검사는 혈구형과 반대로 미리 준비된 A형 적혈구와 B형 적혈구가 포함된 시약을 검사 대상자의 혈청과 유리 시험관 내에서 혹은 플레이트 위에서 반응을 시켜, 응집이 일어나는지 육안으로 관찰한다. 검사 대상자의 혈청이 A형 적혈구와 반응을 하여 응집이 일어나면 혈청 내에 항A 항체가 존재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B형 적혈구와 반응을 하여 응집이 일어나면 혈청 내에 항B 항체가 존재하는 것이다.

ABO 혈액형 검사

소요시간

30분 이내의 시간이 소요된다.

주의사항

분자진단검사를 통하여 ABO 혈액형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ABO 혈액형에 대한 표현형이 특이한 경우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할 수 있다.

결과

1) A형인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형 항원이 있고 혈청 내에 항B 항체가 존재하므로, 혈구형 검사에서는 항A 항체 시약과 응집을 일으키고 혈청형 검사에서는 B형 혈구와 응집을 일으킨다. 2) B형인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B형 항원이 있고 혈청 내에 항A 항체가 존재하므로, 혈구형 검사에서는 항B 항체 시약과 응집을 일으키고 혈청형 검사에서는 A형 혈구와 응집을 일으킨다. 3) AB형인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형 및 B형 항원 모두 있고 혈청 내에 항A 및 항B 항체 모두 없으므로, 혈구형 검사에서는 항A 및 항B 항체 시약과 모두 응집을 일으키고 혈청형 검사에서는 A형 및 B형 혈구 모두와 응집을 일으키지 않는다. 4) O형인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형 및 B형 항원 모두 없고 혈청 내에 항A 및 항B 항체 모두 있으므로, 혈구형 검사에서는 항A 및 항B 항체 시약과 모두 응집을 일으키지 않고 혈청형 검사에서는 A형 및 B형 혈구 모두와 응집을 일으킨다.

ABO 혈액형 검사(혈구형)

ABO 혈액형 검사(혈청형)

부작용/후유증

일반적인 ABO 혈액형 검사는 특별한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없다.

진단질병

수혈

관련검사법

RhD 혈액형 검사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