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초음파
[gynecology ultrasonography]
여성 골반강 장기인 자궁, 난소, 난관의 질환을 초음파를 이용하는 진단하는 검사
신체기관
자궁, 난소, 난관
정의
부인과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하복부에 대거나 질에 삽입하여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검사이다. 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부인과 질환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류
경복부 골반 초음파, 경질 초음파가 있다.
검사주기
급성 혹은 만성 하복통, 질 출혈, 하복부 종괴, 생리 과다, 생리통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검사를 받는다.
준비사항
경복부 초음파의 경우 방광을 채우면 자궁과 난소를 관찰하기 용이하고, 질식 초음파의 경우 방광을 비워주면 난소혹 감별에 용이하다. 검사 전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검사방법
경복부 초음파의 경우 하복벽에 젤을 바르고 일반적으로 바르게 누운 자세에서 검사가 진행된다. 경질 초음파의 경우 산부인과 검사와 같은 자세(쇄석위, 누워서 무릎을 굽히고 허벅다리를 벌린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막대형의 경질 초음파 탐촉자를 질에 삽입하고 검사를 시행한다.
소요시간
대개 5~15분 정도가 소요된다.
주의사항
성 경험이 없는 경우 경질 초음파를 시행해서는 안 되므로, 담당의사에게 반드시 알려주어야 한다.
결과
검사를 마치면 획득한 영상을 병원 내 영상정보처리체계(PACS system) 올라오게 된다.
부인과 경질 초음파 영상
부작용/후유증
초음파 탐촉자로 검사 부위를 누르 것에 대한 압박감이 약간 있을 수 있고, 경질 초음파 시 경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초음파 젤이 이물감을 줄 수 있으나 검사 후 닦아내면 문제 없다.
진단질병
자궁 기형,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암, 양성 난소 종양, 자궁내막증, 난소암, 난관 수종, 골반강 감염
관련검사법
부인과 자기공명영상(MRI), 자궁나팔관 조영술, 자궁근종 색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