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저칼륨혈증
[hypokalemia]

한 줄 설명

혈액검사에서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인 3.5~5.5mmol/L 미만인 경우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신장내과 ,   내분비내과

관련
신체기관

혈액

관련 질병

설사, 대사성 산증, 이뇨제 사용, 당뇨병성 케톤산증, 구토, 바터 증후군, 기텔만 증후군, 저마그네슘혈증, 악성 고혈압, 신동맥 협착증, 고알도스테론증, 리들 증후군

정의

혈액 검사에서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인 3.5~5.5mmol/L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

설사, 대사성 산증(세뇨관성 산증), 이뇨제 사용, 대사성 알칼리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구토, 바터(Bartter) 증후군이나 기텔만(Gitelman) 증후군과 같은 유전성 질환, 저마그네슘혈증 등은 정상 혈압을 보이는 저칼륨혈증의 원인입니다. 또한 악성 고혈압, 신동맥 협착증, 고알도스테론증, 리들(Liddle) 증후군, 과도한 감초 섭취와 같은 경우에는 저칼륨혈증과 함께 고혈압이 동반됩니다.

증상

주 증상은 골격근의 근력 저하(주로 하지)이며, 심한 경우에는 경련, 근육 과민, 테타니(tetany,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도 드물게 관찰됩니다. 또한 간혹 횡문근 융해증이 병발할 수 있으며, 다뇨와 야간뇨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가장 위험한 증상은 심전도가 변화되고 부정맥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

혈액 검사에서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인 3.5~5.5mmol/L 미만인 경우 진단됩니다.

치료

가장 안전하며 권장되는 방법은 경구로 염화칼륨(KCl)을 투여하는 것입니다. 저칼륨혈증을 교정할 때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떨어지면 이를 먼저 교정해야 칼륨 농도도 교정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원인 질환을 교정해 주는 것입니다. 부정맥의 발생이 의심되면 응급 치료가 필요하며 이 경우는 칼륨을 섞은 수액을 정맥 투여합니다. 디기탈리스(Digitalis, 강심제) 치료 중 호흡근의 근력 저하,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있거나, 심한 저칼륨혈증(<3.0mmol/L)의 경우에는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관련질병

설사, 대사성 산증, 이뇨제 사용, 당뇨병성 케톤산증, 구토, 바터 증후군, 기텔만 증후군, 저마그네슘혈증, 악성 고혈압, 신동맥 협착증, 고알도스테론증, 리들 증후군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