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의학정보

안구돌출
[Exophthalmos]

한 줄 설명

튀어나온 눈

관련
신체기관

관련 질병

갑상선 안병증, 안와 염증, 안와 종양 등

정의

눈 주변의 구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구가 앞쪽으로 튀어나온 상태이다.

원인

안구는 얼굴머리뼈에 움푹 들어간 공간인 안와(Orbit)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면을 제외하면 뼈로 둘러싸여 있다. 안와 내에는 안구 외에도 외안근, 눈물샘, 신경, 혈관, 눈물 주머니 및 안와 지방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갑상선 안병증이나 안와 염증, 안와 종양 등의 질환으로 이들 조직의 부피가 커지거나, 안와뼈 자체의 부피가 커지는 경우에도 안구가 앞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 된다.

증상

눈 크기가 커지면서 외관상 변화가 나타나며 눈이 잘 감기지 않아 안구 표면이 자극되어 이물감/통증, 광과민성, 충혈, 눈물 흘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안구돌출이 심할 경우 각막 상처가 지속되어 각막 혼탁, 두께 얇아짐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안구돌출의 원인 질환에 의해 복시, 시력 저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진단/검사

안구돌출의 정도는 안구돌출계(Exophthalmometry)로 평가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눈 주변을 찍은 사진이 경과관찰에 도움이 된다. 사시각 측정, 세극등현미경검사를 통하여 동반된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를 통해 원인 질환의 유무 및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원인 파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때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안와 질환의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치료

안구돌출로 인한 각막 상처에 대해 보존적으로 인공눈물, 연고 등의 안약을 통하여 치료를 하게 되며, 난치성 각막 상처의 경우 치료용 콘택트 렌즈 착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안구돌출 자체의 치료는 유발한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종양성 질환의 경우 수술적 제거 또는 항암/방사선치료로 종양을 제거하여 안구돌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갑상선 안병증에 의한 안구돌출은 활동기의 초기에 적절한 면역억제치료를 하는 경우 진행을 막을 수 있으며 경과관찰 후 안정기에 접어들었을 때에는 안와감압술을 시도해볼 수 있다.

경과/합병증

안구돌출이 해결되지 않아 눈 감김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 상처가 지속되어 각막 혼탁, 두께 얇아짐, 이차적인 세균감염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안구돌출의 경과와 예후는 유발한 원인에 따라 다르며 정확한 원인 파악이 필요하다. 안구돌출의 원인 질환의 위치에 따라 복시, 시력 저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예방방법

내용 없음

식이요법/생활가이드

필요에 따라 인공눈물, 연고 등의 안약 사용 꾸준히 하고 수면 시 테이핑으로 위/아래눈꺼풀을 붙이거나 랩을 붙여 습윤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각막 상처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련질병

갑상선 안병증, 안와 연조직염, 특발성 안와 염증, 안와 혈관종, 안와 림프종 등이 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