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남성 불임
[Male infertility]

한 줄 설명

남성 쪽의 원인으로 임신이 안 되는 경우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비뇨기과

관련
신체기관

고환, 정관, 뇌하수체

관련 질병

잠복고환, 정계정맥류, 뇌하수체종양 등과 연관되어 발생 할 수 있다.

정의

적어도 1년 이상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였음에도 남성 쪽 원인으로 아이를 출산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결혼한 부부의 15% 정도가 불임이고, 이 중 남성 쪽 원인은 40~60%로 여겨진다. 남성 불임은 남성 호르몬을 포함한 호르몬 문제, 독성물질 노출이나 감염 및 외상으로 고환에 생긴 문제, 정자의 문제, 정상적인 정자라 하더라도 배출되는 길이 비정상적인 경우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남성 불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 호르몬 이상으로 나타나는 불임은 칼만증후군, 원인불명, 성선자극호르몬 결핍증, 프래더윌리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전신적 사춘기 성장지연, 이차성 GnRH(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분비장애, 뇌하수체 저하증, 고프로락틴 혈증 등에서 생긴다. - 고환 자체의 문제로 불임이 되는 경우는 선천적/후천적 무고환증(외상, 염전, 종양, 감염, 수술), 정계정맥류, 고환염, 지주세포 증후군, 선천적/후천적 정자생성 중지, 구형 정자증, 클라인펠터 증후군, 46XX 남성, 47XYY 남성, 누난(Noonan) 증후군, 염색체 구조 이상군, 난관 잔존증, 성선 발생장애, 라이디히 세포 형성저하증, 남성 가성 반음양, 진성반음양, 고환종양 등이 있고, 또한 약물, 방사선조사, 고열, 환경독성물질, 간경화, 신부전으로 고환에 문제가 생겨 불임이 될 수도 있다. 그 외에 특발성 불임도 있다. - 정로 및 부속 성선 장애로는 감염, 정관수술로 인하 폐쇄, 낭종성 섬유화증, 선천성 양측 정관 형성부전증, 영 증후군(Young’s syndrome), 정액의 액화 장애, 면역성 불임 등이 있다. 그 외 이소성 요도구, 음경기형, 발기 장애, 사정 장애 등으로 정액 전달 장애에 의한 경우도 있다

증상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임신이 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무증상이다. 유전적 문제가 있거나 남성호르몬의 문제가 있는 경우 발기부전, 유방의 발달과 같은 관련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검사

자의적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임기간, 이전 유산을 포함한 임신 유발 경력, 과거 수술력, 기왕력, 약물 복용력 등을 문진한다. 신체검사는 진단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검사이며, 전신적인 신체검사, 체모, 음경, 음낭, 고환, 부고환, 정관의 상태를 검진한다. 신체검사 후 정액 검사를 시행하며, 명백한 무정자증이나 정자 기능의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추가 검사를 시행한다. 추가검사는 호르몬 검사, 생화학적 검사, 유전자 검사, 고환생검, 방사선 검사로는 정관조영술, 경직장초음파검사 등이 있다.

치료

남성 불임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된다. 내분비질환, 정로감염에 의한 농정자증, 항정자항체에 의한 면역성 불임, 사정장애 등에 의한 불임에서는 약물치료를 먼저 고려할 수 있다. 이전 정관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정관정관문합술이나 부고환정관문합술을 시행하게 되고, 정계정맥류에 의한 불임인 경우 정계정맥류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사정관 폐쇄인 경우 내시경에 의한 경요도절제술이 먼저 고려된다. 폐쇄성 무정자증에서 선천성 양측 정관형성부전증이나 수술로 교정이 불가능한 폐쇄성 정로장애로 인한 무정자증은 미세수술적 부고환 정자 흡입술과 난자세포질 내 정자주입법을 시행한다. 미세수술적 부고환 정자 흡입술이 불가능한 경우 고환조직 정자채취술과 난자세포질 내 정자주입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경과/합병증

검사 후 원인에 따라 치료를 하게 되며, 원인에 따라 치료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방방법

다양한 원인에 따라 일어나므로 별도의 예방 방법은 없다.

관련질병

잠복고환, 정계정맥류, 뇌하수체종양 등과 연관되어 발생 할 수 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