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칸디다증
[candidiasis]

한 줄 설명

칸디다(Candida)라는 곰팡이(진균)가 일으키는 다양한 감염 질환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감염내과 ,   소아청소년과

관련
신체기관

전신

정의

칸디다증은 칸디다(Candida)라는 곰팡이(진균)가 일으키는 다양한 감염 질환입니다. 칸디다증은 침범 부위에 따라 피부점막 칸디다증과 심부 칸디다증으로 구분합니다. 피부점막 칸디다증에는 아구창, 식도 칸디다증, 질 칸디다증 등이 속하고 심부 칸디다증에는 칸디다 진균혈증, 칸디다 내안구염, 칸디다 복막염, 칸디다 골관절염, 칸디다 척추염, 간비장 칸디다증 등이 속합니다.

원인

칸디다증의 원인이 되는 칸디다에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n tropicali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등이 있고 이 중 칸디다 알비칸스가 칸디다증의 가장 흔한 원인 진균입니다. 칸디다는 사람의 위장관, 질, 피부에 정상적으로 살고 있는 진균이고 면역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는 칸디다증을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게는 칸디다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위장관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칸디다가 손상된 점막을 통해 복막염이나 칸디다 진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중심정맥 카테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카테터 삽관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통해 칸디다 진균혈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칸디다 진균혈증이 일어나면 혈액을 따라 다양한 장기에 칸디다가 전파되어 칸디다 내안구염, 골관절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증상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아구창은 입안에 하얀 막이 형성되는 질병으로 입안의 불편감을 호소합니다. 식도 칸디다증이 생기면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생깁니다. 칸디다 외음질염은 가장 흔한 표재성 칸디다증으로, 외음부의 소양감, 따가움, 질 통증, 성교 시의 통증 및 흰 색의 덩어리진 질 분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칸디다 진균혈증은 발열로 나타나고 칸디다가 여러 장기에 퍼지면 다양한 증상이 생깁니다. 칸디다 내안구염이 생기면 시력이 떨어지고, 칸디다 골관절염이 생기면 해당부위의 통증이 생깁니다. 칸디다 복막염은 복부 통증과 발열로 나타나고 간비장 칸디다증은 발열과 간 비대, 비장비대로 나타납니다.

아구창

진단/검사

칸디다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진균이기 때문에 가래, 소변, 대변, 피부, 점막 등에서 칸디다가 배양되었다고 해서 이를 증상의 원인균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피부점막 칸디다증은 임상 관찰소견이 합당하고 병변의 도말 혹은 배양에서 칸디다를 입증하여 진단합니다. 아구창은 보통 육안 관찰로 진단할 수 있고 식도 칸디다증은 식도 내시경을 통해 진단합니다. 피부점막칸디다증과 달리 심부 칸디다증은 감염병소에서 칸디다를 배양하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피부점막 칸디다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니스타틴(nystatin)이나 아졸(azole)계열 항진균제 연고를 바르거나 아졸(azole)계열 항진균제를 경구투여합니다. 심부 칸디다증의 치료에는 에키노칸딘(echinocandin) 계열에 속하는 카스포펀진(caspofungin), 미카펀진(micafungin), 아니듈라펀진(anidulafungin), 아졸(azole)계열에 들어가는 플루코나졸(fluconazole), 폴리엔(polyene)계열에 속하는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를 투여합니다. 칸디다증의 치료에 자주 사용하는 플루코나졸은 칸디다 알비칸스에 효과적이지만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칸디다 크루세이(Candida krusei)와 같은 진균에는 듣지 않습니다.

경과/합병증

피부점막칸디다증은 경미한 질병으로 합병증을 남기지 않습니다. 반면 칸디다 진균혈증은 치료하여도 일부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예방방법

칸디다증은 대부분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에서 발생하므로 면역기능이 떨어진 이유를 찾아 교정하는 것이 예방에 필요합니다. 중심정맥카테터를 가지고 있으면 이를 통해 칸디다 진균혈증이 생길 수 있어 중심정맥카테터를 유지할 이유가 없어지면 빠른 시간 내에 카테터를 제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칸디다증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병이 아니므로 격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칸디다증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병이 아니므로 격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진료회원인증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고유식별정보 처리 동의

※ 고유식별정보에 대한 안내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서울대학교병원(이하 "병원"이라 한다)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한다)를 이용함에 있어 사이트와 이용자의 권리 의무 및 책임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용어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사이트"라 함은 병원이 컴퓨터 등 정보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가상의 공간을 말합니다. (2)"서비스"라 함은 병원의 홈페이지 및 병원이 운영하는 인터넷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상의 모든 서비스를 말합니다. (3)"회원(이용자)"이라 함은 본 약관에 동의하고, 인터넷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병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자를 말합니다. (4)"운영자"라 함은 서비스의 전반적인 관리와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병원에서 선정한 사람을 말합니다. (5)"ID"라 함은 회원이 서비스에 제공받기 위하여 본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Login 명을 의미하며 한글, 영문과 숫자의 조합으로 6자에서 15자 사이로 하고 한글은 3글자에서 8글자 사이로 합니다. (6)"비밀번호"라 함은 회원의 비밀보호 및 회원 본인임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제공되는 각종 정보의 보안을 위해 회원 자신이 설정하며 회사가 승인하는 영문소문자, 대문자, 숫자의 혼합 등으로 9자에서 16자 사이로 표기한 암호문자를 말합니다. (7)"개인정보"라 함은 당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명,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등의 사항에 의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합니다. (8)회원은 웹회원, 진료회원, 직원/동문회원, 운영자로 구분되며, 각 회원은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