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발달질환, 자폐스펙드럼 증후군, 이상운동질환, 유전성 뇌증 , 유전성 근육병, 미토콘드리아병, 미진단 희귀질환, 유전성 뇌전증 발달질환, 신경계 면역질환 , 염증성 근육병 , 말초신경병증, 모야모야병, 염색체질환, 유전상담, 미진단 희귀신경계질환, 산전유전진단
근육병, 레트증후군, 미토콘드리아병, 신경섬유종증, 결절성경화증,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백질이영양증, 소아신경질환, 말초신경병증, 발달지연, 신경발달 장애, 유전성 뇌전증, 신경 유전질환, 희귀 유전질환, 미진단 희귀질환, 뇌전증, 염색체 이상, 유전상담, 신경근질환
진료
클리닉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
오후 |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학력/경력
학력정보
기간 | 학력 |
---|---|
1998 ~ 20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박사 |
1996 ~ 1998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석사 |
1986 ~ 199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경력 및 연수
기간 | 경력 및 연수 |
---|---|
2021. 3. ~ 현재 |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교수 |
2020. 7. ~ 2022. 7. | 서울대학교병원 정밀의료센터장 |
2019 ~ 현재 |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장 |
2016. 9. ~ 현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 |
2016. 9. ~ 현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6 ~ 2021. 2 | 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센터장 |
2015. ~ 2020. |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바이오마커 센터장 |
2011. 9. ~ 2016. 8.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
2005. 9. ~ 2006. 8. | 미국 컬럼비아대학 신경과 PostDoc fellow |
2000. 4. ~ 2011. 8. | 서울대병원 임상부교수 |
1999. 3. ~ 2000. 3. | 일본 국립 신경 센터 연구 전임의 |
1997. 3. ~ 1999. 2. | 서울대학 병원 소아과 전임의 (소아신경학) |
1994. 3. ~ 1997. 2. | 서울대학병원 소아과 전문의 과정 |
1993. 3. ~ 1994. 2. | 서울대학병원 인턴 |
학회활동
기간 | 학회활동 |
---|---|
2024. ~ 현재 | 뇌전증학회 상임이사 |
2024. ~ 현재 | 대한의학유전학회 국제협력이사,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장 |
2022. ~ 현재 | 유전자 검사평가원 이사 |
2022. ~ 현재 | 대한소아신경학회 부회장 |
2021. ~ 2023. | 대한의학유전학회 학술이사 |
2019. ~ 2023. | 희귀질환센터 권역별 거점센터사업, 중앙지원센터장 |
2019. ~ 2021. | 대한의학유전학회 교육이사 |
2018 ~ 현재 | 한국대표, 세계 미진단 네트워크 (UDNI) |
2016 ~ 2018 | Member of Scientific Committee, Korean Pediatrics Society |
2015 ~ 현재 | Executive Board, Asia - Oceanian Myology Center |
2012 ~ 2016 | 대한 소아신경학회 학술위원장 |
2009. ~ 현재 | Member, Asia Oceanian Child Neurology Association |
2001. 3. ~ 현재 | Member World Muscle Society |
주요저서
-
Electroencephalography in Moyamoya disease
B-K Cho & T Tominaga
Springer
2010
-
Floppy Infant Syndrome
Robert P Lisak, Daniel D Truong, Wiliam M. Carroll, Roongroj Bhidayasiri
Wiley-Blackwell
2009
-
신경학 4th edition
군자출판사
-
의학유전학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