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어린이병원진료
진료분야 :

소아 크론병, 소아 궤양성대장염, 만성 복통, 만성 설사, 혈변, 지방간, 염증성 장질환

진료

클리닉

요일별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
예약 전 확인하세요!
과명

예약전 확인

예약전 확인

진료예약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나의 전문분야

염증성 장질환 및 소화기 희귀난치질환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희귀난치 소화기 질환에 애정을 갖고 있습니다. 어린이, 청소년들이 정확한 진단부터 시작해 최적화된 치료로 건강을 회복하고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별 환자 맞춤 치료를 목표로 합니다.

소아청소년 내시경

 내시경이 필요한 환자들이 공포감을 갖지 않고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진정팀과 함께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진단 내시경 뿐 아니라, 내시경적 위루술, 정맥류결찰, 폴립절제 등의 치료 내시경을 시행합니다.

나의 연구 분야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장질환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IL-10RA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유전성 염증성 장질환이라는 당시 생소했던 분야를 밝혀, 질환 분류에 초조발형 염증성 장질환이 추가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소아 염증성 장질환의 임상적 특성과 마이크로바이옴을 전세계 소아 환자들의 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예측 바이오마커를 개발하였고, 크론배제식이 치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신약 임상 시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전국의 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발병율과 치료를 분석하였습니다. 염증성 장질환은 특히 소아에서 발병율이 급증하여 서구권의 양상을 보이며, 어린 나이일수록 임상 경과가 중증이라는 것을 실증하여 국가의 대표 통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 소아청소년 염증성 장질환 코호트를 책임연구자로서 이끌고 있습니다. 전국 대다수의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들이 참여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자료를 구축하여, 한국 소아청소년 염증성장질환의 진료와 연구를 공동 연구자들과 함께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장내 바이러스 세균 유전체 연구

 로타바이러스 인체 감염의 새로운 유전형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유전형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였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기능성 위장관질환 등 소아소화기질환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및 기능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력/경력

학력

  • 2006. ~ 2013.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2004. ~ 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 1995. ~ 20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의학과

  • 경력

    • 2025. 3.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 교수

    • 2020. 2. ~ 2023. 4.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상과장, 어린이병원학교장

    • 2012. 3. ~ 2025. 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 교수

    • 2008. 3. ~ 2012. 2.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 조교수

    • 2006. 3. ~ 2008. 2.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 임상강사

논문

  • 제목

    The Korea Infant Physical Growth Examination Survey (KIPGroS): a study protocol

  • 발표지

    Clin Exp Pediatr

  • 발표년월

    2025-2


  • 제목

    Gut Microbiota-Based Ensemble Model Predicts Prognosis Of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 발표지

    iScience

  • 발표년월

    2024-12


  • 제목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Ulcerative Colitis at Diagnosis in Korea: Results From a Multicenter, Registry-Based, Inception Cohort Study

  • 발표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발표년월

    2024-12


  • 제목

    Comparative analysis of rare periodic fever syndromes including the first Korean case of hyperimmunoglobulinemia D and periodic fever syndrome

  • 발표지

    Clin Exp Pediatr

  • 발표년월

    2024-10


  • 제목

    Comparison of endoscopic healing and durability between infliximab originator and CT-P13 in pediatric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 발표지

    Frontiers in Immunology

  • 발표년월

    2024-02

주요저서

언론보도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