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본원진료
진료분야 :

간이식

예약 전 확인하세요!
과명

예약전 확인

예약전 확인

진료예약
어린이병원진료
진료분야 :

간담도질환, 윌슨병, 당원병, 지방간, 비만, 췌장질환, 급성간부전, B형 간염, 신생아 황달, 신생아 간염, 알라질 증후군, 담도 폐쇄,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증정체

진료

클리닉

요일별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
예약 전 확인하세요!
과명

예약전 확인

예약전 확인

진료예약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언론보도

언론보도

언론보도
번호 언론사 언론보도명 보도일자
17 뉴시스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소아장부전' 공개강좌 개최 2025-09-09
16 뉴스1 서울대병원 '토닥토닥 2025 소아장부전' 공개 강좌 2025-09-09
15 헬스조선 “약 못 써 다섯 살에 간 이식 받는 알라질증후군… 허가·급여 시급” 2025-08-18
14 헬스조선 “소아희귀질환 치료제 국내 도입 시급… 유연한 급여 평가 필요” 2025-07-14
13 쿠키뉴스 치료 사각지대 놓인 희귀질환 아이들…“치료제 접근성 강화 절실” 2025-07-12
12 뉴스1 약은 있는데 못 써요…소아희귀질환, 급여·허가 늦어 치료 시기 놓친다 2025-07-11
11 헬스경향 “아이에겐 시간이 없어요”…소아 희귀질환 앞에서 멈춘 신약 접근성 2025-07-11
10 중앙일보 담즙 쌓여 간 파괴되는 질환 ‘피픽’, 신약 적용 땐 소아 간 이식 부담 덜어 2024-11-04
9 중앙일보 담즙 쌓여 간 파괴되는 질환 ‘피픽’, 신약 적용 땐 소아 간 이식 부담 덜어 2024-11-04
8 중앙일보 가슴으로 밥 먹는 10살 산이, 반장 됐다…"허팝 만나고 싶어요" 2024-05-03
7 파이낸셜뉴스 희귀 난치 자가 면역 소아환자, 최신 유전체 검사로 맞춤 치료 성공(고재성, 문진수 교수) 2015-11-04
6 헤럴드경제 유산균 덩어리 김치…비만 퇴치에 네가 꼭 필요해 2015-11-03
5 연합뉴스 '희귀병 찾아내고 고치고'…미래 맞춤의학 '성큼'(고재성, 문진수 교수) 2015-11-03
4 조선일보 초록빛 띠면 장폐색 왈칵 게워내면 뇌염 2014-11-26
3 매일경제 [건강강좌] 소아의 이식(민상일, 고재성 교수) 2014-07-19
2 경향신문 [건강강좌] 소아의 이식(민상일, 고재성 교수) 2014-07-18
1 매일경제 장기이식센터 ’소아 간이식’ 강좌(고재성, 이남준 교수) 2013-08-2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