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예방의학)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나의 전문분야
치료적약물모니터링 및 맞춤약물요법 자문
약물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효과 및 부작용은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치료적약물모니터링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및 맞춤약물요법 자문 등을 통해, 환자 개개인의 약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약물 요법을 실현해가고 있습니다.
개인유전형적정약물 및 용법-용량 선택 자문
개인의 약물 유전형 검사 결과에 근거해 특정 질환에 사용하는 약 중에서 부작용은 적고 효과는 큰 약물을 선택하고, 또 적절한 용법과 용량을 정하도록 돕습니다.
나의 연구 분야
개인약물맞춤요법/초기임상시험/특수집단약물용법
임상시험 디자인, 약물개발 및 규제과학 및 계량약리학의 전문가로서, 글로벌 신약 개발 자문을 다수 수행하고 있으며 first-in-human(FIH) study를 비롯한 여러 초기 임상연구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물학적의약품의 FIH study, 극미량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약물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microdosing/microtracing study, 그리고 다양한 약물의 PK/PD 모델링 및 biosimilar 관련 규제 등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임상시험 효율화
빅데이터, 딥러닝, 자동화 기술 등을 활용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 차세대 임상시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상시험 실패의 주된 원인인 피험자 모집 단계의 효율성을 최적화하여 임상시험의 성공률을 높이고, 피험자들의 임상시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대화형 서비스인 챗봇(chatbot)개발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력/경력
학력
-
1994 ~ 1998
-
1989 ~ 199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예방의학)
-
1982 ~ 19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
2020. 3 ~ 현재
서울대학교융합과학대학원 분자의학및바이오제약학과 교수
-
2017. 8. ~ 2021. 7.
주임교수,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임상약리학 협동과정
-
2014.10. ~ 2023.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겸무교수
-
2014. 10.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
-
2014. 10. ~ 2020.2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교수
경력
논문
-
제목
A target-mediated drug disposition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GC1118, a novel anti-EGFR antibody,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
발표지
CTS-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
발표년월
2021-5
-
Pubmed URL
-
제목
A phase I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tolerability,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files of ocular GLH8NDE in healthy male adults
-
발표지
CTS-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
발표년월
2021-2
-
Pubmed URL
-
제목
An Investigation of the Metabolism and Excretion of KD101 and Its Interindividual Differences: A Microtracing Mass Balance Study in Humans
-
발표지
CTS-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
발표년월
2021-1
-
Pubmed URL
-
제목
Altered gene expression profile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n obese subjects.
-
발표지
OBESITY FACTS
-
발표년월
2020-7
-
Pubmed URL
-
제목
Scientific considerations for global drug development.
-
발표지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
발표년월
2020-7
-
Pubmed URL
주요저서
-
바이오의약품 시대가 온다 (개정증보판)
청년의사
2023
-
대한민국 신약개발 성공전략
청년의사
2022
-
K-방역은 없다
골든타임
2021
-
바이오의약품 시대가 온다
청년의사
2019
건강정보
언론보도
29 | 건강다이제스트 | [이형기 교수의 건강 ‘톡’] 생명 연장의 꿈 바이오의약품이 실현할까? | 2025-01-23 |
28 | 건강다이제스트 | [이형기 교수의 건강 ‘톡’] 뇌졸중 치료제 와파린, 쥐약에서 생명의 약이 되기까지 | 2025-01-01 |
27 | 건강다이제스트 | [이형기 교수의 건강 ‘톡’] 원기소에서 글루타치온까지~시대의 아이콘! 영양제 변천사 | 2024-12-06 |
26 | 건강다이제스트 | [이형기 교수의 건강 ‘톡’] 많이 먹으면 간에 무리가 되는 영양제 리스트 | 2024-09-19 |
25 | 건강다이제스트 | [이형기 교수의 건강 ‘톡’] 한 주먹씩 먹는 약 괜찮을까?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