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어린이병원진료
진료분야 :

우울증, 불안증, 자해/자살 위험, 기분조절문제, 조울병, 우울증 클리닉

진료

클리닉

요일별 진료일정
구분
오전
오후
예약 전 확인하세요!
과명

예약전 확인

예약전 확인

예약센터  1588-5700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나의 전문분야

우울증, 자해·자살 위험, 불안증, 기분 조절 문제, 조울병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20%)은 성인이 될 때까지 최소 1번 이상의 우울 삽화(depressive episode)를 경험합니다.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학교 부적응, 학업 부진, 게임 중독, 청소년 비행, 약물 남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은 성인기 우울증과 달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품행장애, 불안장애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서, 소아정신과 의사의 전문적인 평가와 진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 국내 최초의 어린이청소년 우울증 전문 클리닉으로 개설된 MAY (Mood and Anxiety clinic of Youth)는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UPMC)의 STAR (Services for Teens at Risk)와 CABS (Child and Adolescent Bipolar Services)와 연계하여 우울증과 자해·자살의 위험이 있는 소아청소년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하며 치료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의 연구 분야

우울증, 자해·자살 위험, 불안증, 기분 조절 문제, 조울병

 ASIST 연구: 연구재단 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청소년 자해행동의 신경생물학적 마커 개발과 자해행동 치료 프로그램 ASIST (Adolescent Self-injury Intervention Skills Training)의 치료 기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해행동 청소년의 심리/임상/행동 특성, 코티졸, 베타-엔돌핀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수집한 과제 관련 뇌 반응/연결성을 측정하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자해행동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MY:DREAM 연구: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디지털 표현형과 인공지능 기반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모니터링과 조기 중재 시스템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표현형에 기반하여 아동청소년의 심리(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무자각 콘텐츠와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스마트밴드)로 심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우울, 불안의 치료 반응과 자살 위험을 조기 중재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과 시제품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학력/경력

학력

  • 2005 ~ 200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신과학 박사

  • 2000 ~ 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신과학 석사

  • 1991 ~ 199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경력

    • 2022

      국무총리 표창 (여성 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헌신 공로)

    • 2018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

    • 2014 ~ 현재

      서울해바라기센터 소장

    • 2012 ~ 201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부교수

    • 2012 ~ 2014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UPMC) Visiting Scholar

논문

  • 제목

    Measures of connectivity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volumes and depressive symptoms following treatment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adolescents

  • 발표지

    JAMA Netw Open

  • 발표년월

    2023-08

  • Pubmed URL


  • 제목

    Prediction of diagnosis and treatment response in adolescents with depression by using a smartphone app and deep learning approaches: usability study

  • 발표지

    JMIR Form Res

  • 발표년월

    2023-05

  • Pubmed URL


  • 제목

    Subcortical volumetric alterations as potential predictors of methylphenidate treatment response in youth with ADHD

  • 발표지

    J Psychiatry Neurosci

  • 발표년월

    2022-01


  • 제목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uicidality among adolesc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발표지

    Child Adolesc Psychiatry Ment Health

  • 발표년월

    2021-12


  • 제목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among the depressive symptoms in a clinical samp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표지

    Asian J Psychiatr

  • 발표년월

    2021-08

주요저서

언론보도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진료회원인증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고유식별정보 처리 동의

※ 고유식별정보에 대한 안내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서울대학교병원(이하 "병원"이라 한다)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한다)를 이용함에 있어 사이트와 이용자의 권리 의무 및 책임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용어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사이트"라 함은 병원이 컴퓨터 등 정보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가상의 공간을 말합니다. (2)"서비스"라 함은 병원의 홈페이지 및 병원이 운영하는 인터넷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상의 모든 서비스를 말합니다. (3)"회원(이용자)"이라 함은 본 약관에 동의하고, 인터넷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병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자를 말합니다. (4)"운영자"라 함은 서비스의 전반적인 관리와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병원에서 선정한 사람을 말합니다. (5)"ID"라 함은 회원이 서비스에 제공받기 위하여 본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Login 명을 의미하며 한글, 영문과 숫자의 조합으로 6자에서 15자 사이로 하고 한글은 3글자에서 8글자 사이로 합니다. (6)"비밀번호"라 함은 회원의 비밀보호 및 회원 본인임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제공되는 각종 정보의 보안을 위해 회원 자신이 설정하며 회사가 승인하는 영문소문자, 대문자, 숫자의 혼합 등으로 9자에서 16자 사이로 표기한 암호문자를 말합니다. (7)"개인정보"라 함은 당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명,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등의 사항에 의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합니다. (8)회원은 웹회원, 진료회원, 직원/동문회원, 운영자로 구분되며, 각 회원은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