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의학박사
간암, 방사선색전술, B형간염, 중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간이식, 원발성담즙성 담관염
진료
클리닉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
오후 |
예약전 확인
예약전 확인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나의 전문분야
간암, 만성B형간염, 만성C형간염, 간경변을 동반한 심한 지방간
난치의 질환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임상을 포함한 최신, 최선의 방안을 같이 고민하겠습니다.
나의 연구 분야
간암의 임상연구
수술, 간이식, 고주파열응고술, 경피적에탄올주입술, 간동맥화학색전술, 방사선색전술, 약물방출미세구색전술, 방사선수술, 세포면역치료,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 등의 복합 치료를 통한 세계 최고의 완치율과 생존율을 자랑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임상 시험을 하는 기관으로 가장 최신의 임상 시험약 사용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감염, 지방간의 임상연구
B형간염의 완치를 위한 다양한 임상시험, 풍부한 C형간염 임상과 완치 경험, 심한 지방간염의 치료에 최신의 기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임상 시험을 하는 기관으로 가장 최신의 임상 시험약 사용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환자 가족의 주치의가 되겠습니다.
Q. 환자에게 어떤 의사이고 싶은지?
사실 중증 환자가 많고, 누구든지 그렇지만 오래 병을 앓다 보면 경제적으로도 넉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경제적으로 넉넉한 환자분들도 계시지만 전체 환자들의 병적인 것 이외의 부분 다른 전체적인 가족 관계, 경제적인 부분, 모든 것을 다 포괄해서 돌봐드리고 싶은 게 제 마음입니다.
간염 환자의 경우에는 제가 평생을 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B형 간염은 자녀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할머니가 저한테 간암치료를 받고 그 다음에 어머니가 치료를 받고 있고 또 그 아들과 딸들이 성인이 돼서 소아과에서 저한테 오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과 같은 마음으로 포괄적인 환자 케어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Q. 기억에 남는 환자가 있다면?
40~50대의 남성 환자분이신데요, 어머니도 간암으로 돌아가셨고 형제나 이모, 많은 분들이 간암으로 돌아가신 그런 집안이었습니다. 그런데 다행히도 그 분은 저에게 일찍 간암이 발견돼서 잘 치료 받았는데요. 간암이라는 건 수술을 해도 잘 재발하기 때문에 간암이 수술 후에 재발해서 또 수술을 받고 그 다음에 뇌나 폐로 전이가 되었는데, 뇌에 대해서는 방사선치료, 폐에 대해서는 수술과 방사선치료, 또 항암화학치료를 통해서 뼈, 뇌, 골 전이를 동반하고도 10년 이상, 20년 가까이 생존하고 있는 그런 환자분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물론 가장 가슴 아픈 환자분들은 우리가 아무리 좋은 치료를 하더라도 치료 자체의 한계점, 질병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서 환자를 보다 보면, 천 명의 환자를 보면 999명의 환자를 구하더라도 1명의 환자는 어쩔 수 없이 잃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잃고 있는 모든 환자와 그 가족들에 대해서 항상 안타까운 마음과 애틋한 마음을 갖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Q. 관심 갖고 있는 연구나 진료 분야는?
최근에 B형 간염은 우리나라에서 굉장히 큰 문제가 되고 있고 B형 간염은 이제 억제하는 약들이 많이 개발되어서 억제는 비교적 쉽습니다. 하지만 아직 완치제가 개발되어 있지는 않죠. C형 간염은 최근에 완치제가 개발이 되어서 많은 환자들이 완치의 큰 기쁨을 누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B형 간염도 향후로는 완치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B형 간염 완치제를 개발하는 것에 큰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어떤 유전적 차이에 의한 B형 간염의 결과가 환자들마다 달라지는 것에 대해서도 사실 폭넓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간암 환자들이 많은데요, 이식 혹은 간암의 치료, 특히 (간)문맥을 침범한 간암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Q. 환자(보호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건 본인이 B형 간염인지 C형 간염인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 건데요, 그거는 저한테 오시는 환자분들은 다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저를 미처 찾지 못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이 있는지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최근에 B형, C형 간염의 치료가 어느 정도 되면서 알코올성 지방간 혹은 알코올성 간염 등의 알코올성 간질환과 또한 비만에 의한 지방간 질환이 급격하게 늘고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건 건강한 생활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대요. 술을 적절히 마시고, ‘적절히’라는 건 일주일에 대략 14잔 미만을 마시는 건데요, 꾸준한 운동과 칼로리 섭취 제한을 통해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간 건강을 위해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력/경력
학력
-
1999 ~ 2001
-
1994 ~ 199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의학석사
-
1986 ~ 199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2013. 9.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교수
-
2008. 1. ~ 2013. 9.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부교수
-
2007. 12. ~ 2008. 2.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Univ. of Texas
-
2004. 8. ~ 2008. 10.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조교수
-
2001. 3. ~ 2004. 8.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상교수
경력
논문
-
제목
Research Profiles
-
발표지
Pure (Elsevier)
-
발표년월
-
기타 URL
-
제목
Direct-acting antivirals improve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hepatitis c viru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 nationwide,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
발표지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
발표년월
2021-7
-
Pubmed URL
-
제목
Patterns and outcom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with portal vein invasion: a multicenter prospective cohort study.
-
발표지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
발표년월
2021-1
-
Pubmed URL
-
제목
Discontinuation of nucleos(t)ide analogues is not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hbsag seroreversion after antiviral-induced hbsag seroclearance: a nationwide multicentre study.
-
발표지
GUT
-
발표년월
2020-2
-
Pubmed URL
-
제목
A non-synonymous variant rs12614 of complement factor b associated with risk of chronic hepatitis b in a korean population.
-
발표지
BMC MEDICAL GENETICS
-
발표년월
2020-2
-
Pubmed URL
주요저서
-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제3판
일조각
2011.01
-
Principles of Molecular Diagnostics and Personalized Cancer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01
-
췌담도외과학
.
2011.12
-
계통별 약물 유해반응
.
2010
건강정보
언론보도
47 | 조선비즈 | 암 사망률 2위 간암 “재발 막는 데 면역 항암 세포치료제가 열쇠” | 2025-02-05 |
46 | KBS | 닥터의 경고, 지방간 | 2025-01-13 |
45 | 코메디닷컴 | “지방간은 큰병 아니니 걱정할 필요 없다고요?” | 2024-11-05 |
44 | 약업신문 | [인터뷰] 대한간학회 김윤준 이사장 “간암 정복 시대 열렸다…건보 급여 확대 '필수불가결'” | 2024-10-18 |
43 | 서울경제 | “C형간염 방치하다 이식까지…숨은 환자 찾아내야죠”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