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영장류 난자 이용해 생식의학분야 연구한다

조회수 : 8289 등록일 : 2016-09-30

영장류 난자 이용해 생식의학분야 연구한다
- 서울대병원 연구팀 영장류 난자 체외성숙 수정 성공
- 인간과 설치류 연구실험의 한계 극복. 동물자원화 가능성 제시
 

 인간과 가장 유사한 영장류에서 난자를 획득해 인간의 생식내분비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구승엽교수ㆍ의생명연구원 강병철교수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영장류 난포를 체외에서 성숙시킨 후 난자를 획득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찾아냈다고 30일 밝혔다.  

※ 난포: 난자를 가지고 있는 주머니로 난자 성숙에 필수적인 조직 구조물

  이 연구는 그간 생식의과학 분야 연구에 윤리적 이유로 한계적일 수 밖에 없었던 인간 난소조직 획득의 한계는 물론 인간의 생식생리와 차이가 큰 설치류 난소로 인한 연구의 한계를 크게 뛰어 넘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영장류(마모셋 원숭이 등)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자궁이 한 개 있고 월경주기 등 생식생리적 특성이 유사해, 생식분야 전임상 연구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설치류와는 달리 구입과 반입, 관리 등 절차가 매우 까다로워 전세계적으로 소수 연구팀만이 실험에 활용하고 있다.

  연구팀은 영장류 난소로부터 난포를 획득하고, 체외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영장류 난포의 체외성숙 후 기능성 난자를 획득하고 수정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난포  구승엽 교수는 “생식의학분야 연구에 영장류가 실용적으로 이용돼 임상연구에 기여함은 물론 연구 적정화를 통한 동물자원화가 가능하다”며, “다양한 종류의 영장류 및 다른 생식의과학분야 연구 등 깊이 있는 연구가 향후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중개중점연구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미국 의학연구연합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Investigative Medicine, 조직공학-재생의학 분야 SCI 학술지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최근호에 각각 게재됐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