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암생존자의 상당수가 이차암검진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

조회수 : 7071 등록일 : 2011-04-21

암생존자의 상당수가 이차암검진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
- 암생존자 상당수가 주기적 추적검사와 이차암 검진을 혼동

신동욱 교수  
상당수의 암생존자들이 병원에서 암 치료후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피검사나 엑스레이 검사만 잘 받으면 몸의 모든 이상을 알아낼 수 있는 것으로 잘못알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꼭 필요한 암검진을 제대로 받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서울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조주희 교수 등 공동연구팀과 함께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에 대한 암생존자들의 지식, 태도 및 위험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를 미국 암협회 학술지인 ‘ 암 (Cancer)’ 지(誌)에 발표하였다.

  ‘이차암(Second primary cancer)’은 암을 한번 겪은 암환자들에게 원래의 암 이외에 새로운 암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유방암환자가 치료 이후 새로 대장암이 생기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현재 암 생존자들이 어떻게 암 검진을 받아야 한다는 구체적인 권고안은 마련되어있지 않지만, 최소한 일반인들에게 권고되는 암 검진만큼은 받아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한번 암을 겪은 암생존자들은 새로 다른 암이 발병할 확률이 일반인들 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암 생존자의 절반 이하만이 제대로 암검진을 받고 있음을 밝힌 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암생존자들이 이차암에 대한 검진을 잘 받지 않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료를 종료한 326명의 국내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검진 지침에 맞게 이차암에 대한 검진을 받고 있는 암환자는 37.7%에 불과하였다. 이차암 검진에 대한 잘못된 지식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는데, 특히 병원에서 피검사나 엑스레이 등 주기적으로 하는 추적검사들을 잘 받으면 몸에 생기는 어떠한 종류의 이상이라도 다 알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주기적인 암검진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대학교병원 신동욱 교수는 “많은 암 생존자들이 암 치료를 해준 암전문의로부터 재발 여부에 대한 추적검사만을 받고 있지만, 정작 스스로는 본인에게 필요한 모든 검사를 다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라고 지적하면서, “암환자들이 현재 다니는 외래 진료 이외에 꼭 필요한 암 검진을 챙길 수 있도록 이차암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는 2009년부터 암환자 및 암완치자들을 위한 검진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왔으며, 이번 3월 말 새로 개원한 서울대학교병원 암병원에는 국내 최초로 암건강증진센터가 개설되어 건강증진분야의 전문의들이 암치료 이외에 필요한 암환자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며, 암치료 병력과 개개인의 건강습관을 고려한 맞춤형 암검진을 제공한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