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A형 간염 검사
[tests for hepatitis A]

한 줄 설명

A형 간염 진단 및 항체 형성 여부에 대한 검사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진단검사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정의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에 의한 급성 간염이다. 경구를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파된다. 국내에서는 보통 영유아 및 소아기에 감기같이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것처럼 생각되었으나 근래에는 개인위생이 좋아지면서 예전처럼 어릴 때 앓는 경우가 줄어들어 20~30대 청장년층 성인 환자가 증가하였다. 이들 청장년층은 상당수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항체 양성율, 20대 미만: 10~20%, 20대: 10~40%, 30대: 약 50~80%, 2008년 자료 기준). A형 간염은 감염 후 평균 28일(15~50)일의 잠복기를 가지며 다른 간염과 구별되지 않는 간염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가벼운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후에 열, 피로감, 근육통, 식욕부진, 복통, 오심, 구토, 흑갈색뇨, 황달 등의 증상이 급작스럽게 나타난다. 어린이의 경우 설사나 호흡기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체로 성인이 되어 A형 간염에 걸리는 경우 좀 더 심한 임상 증상을 보이고 극소수에서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임상 증상을 통해 A형 간염이 의심되면 항 A형 간염바이러스 항체(anti-HAV IgM) 검사를 통해 A형 간염을 진단할 수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급성 감염된 사람은 항체(anti-HAV IgM)를 가지게 되는데 이들 환자의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해서 인위적으로 재조합한 A형 간염 항원과 반응시키면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효소를 이용한 발색 반응이나 화학적 발광 반응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검출한다.

A형 간염 바이러스

종류

1) 총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Total anti-HAV): IgM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IgM anti-HAV)와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IgG anti-HAV) 2) IgM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M) 3)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

검사주기

급성 A형 간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최초 IgM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M) 검사결과 음성으로 판정되면 2-3일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한다.

준비사항

채혈검사를 위해 특별히 준비할 것은 없다.

검사방법

적절한 검사용기에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해서 인위적으로 재조합한 A형 간염 항원과 반응시키면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효소를 이용한 발색 반응이나 화학적 발광 반응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검출한다.

소요시간

검사 후 결과보고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어 수시간에서 수일 정도가 소요된다.

결과

1) IgM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M): 급성 A형 간염의 확진에 이용된다. 증상발현 5~10일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감염 후 6개월이 지나기 전에 사라진다. 2)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는 감염 이후 4~6주 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생 동안 항체가 유지되며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가 양성이면 과거 감염 또는 백신 접종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예방 접종 후 항체 생성률이 매우 높아 항체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어린이 및 40대까지는 경우 A형 간염 항체가 없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백신 접종력이 없으면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 검사 또는 총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Total anti-HAV) 검사 없이 바로 예방 접종을 하고, 50대 이상에서는 항체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IgG형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AV IgG) 검사 또는 총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Total anti-HAV) 검사 후 항체가 없는 이에게만 예방 접종을 시행하도록 권장된다.

진단질병

급성 A형 간염

관련검사법

B형 간염 검사, C형 간염 검사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