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자궁 나팔관 조영검사
[hysterosalpingorgraphy]

한 줄 설명

자궁강 내 조영제를 주입하여 자궁과 자궁강, 나팔관(난관)의 모양 및 개폐 여부를 관찰하는 검사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영상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자궁, 난관

정의

자궁 나팔관 조영검사는 자궁강 내에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X선 투시기로 자궁과 자궁강, 나팔관(난관)의 모양 및 개폐 여부를 관찰하고 촬영하여 자궁 기형, 자궁강 내 종괴, 난관 폐쇄 등을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나팔관을 통해 조영제가 빠져나가는 정도, 나팔관의 팽창 여부 등을 직접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초음파, MRI 등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주로 난임 환자에서 많이 시행되는 검사이다.

검사주기

난임, 습관성 유산, 질 출혈, 생리 과다 등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검사를 받는다. 보통 난임을 진단하거나 보조생식술 등으로 난임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시행하게 된다.

준비사항

자궁경부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므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조영제 부작용에 대비하여 검사 2시간 전부터 금식해야 한다.

검사방법

환자를 촬영대 위에 쇄석위 자세로 눕힌 후 외부 생식기와 질, 자궁경부를 소독한다.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 영상을 얻고, 카테터를 자궁경부에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자궁강, 양측 나팔관을 통해 복강 내로 조영제가 빠져나가는 영상을 얻는다.

소요시간

검사를 시행하는 데 약 20분이 소요된다.

주의사항

생리 중이거나 임신이 예상되는 경우 시행할 수 없으며 검사 진행 시 약간의 하복부 통증이 있을 수 있다. 검사는 생리 후 10일 이내에 시행하여야 하며, 생리 후 10일 이후에는 배란기이고 임신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행하지 않는다. 골반강에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검사를 시행할 수 없다.

결과

자궁 기형, 자궁강 내 종괴, 난관 폐쇄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자궁 나팔관 조영검사 사진

부작용/후유증

경도의 하복부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대개 검사하고 1~3일 정도 지속된다. 이러한 경우 진통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 골반강 감염, 복막염이 유발될 수 있으나 매우 드물다.

진단질병

자궁 기형, 자궁강 내 종괴, 난관 폐쇄

관련검사법

부인과 초음파, 부인과 자기공명영상(MRI)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