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신염
[Glomerulonephritis]
콩팥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신장내과
신체기관
신장
급성신손상, 만성콩팥병, 혈관염, 감염, 자가면역질환
정의
사구체신염이란 신장에 있는 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하여 손상을 입게 되는 질병군을 뜻한다. 사구체란 신동맥에서 나온 모세혈관들이 실타래처럼 뭉친 덩어리로, 우리 몸에서 과도한 체액, 전해질, 요독 등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한다. 때문에 사구체신염이 발생하면 우리 몸에 과도한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사구체신염은 갑작스럽게 급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천천히 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원인
사구체신염은 사구체에 국한되어 질병이 발생하는 일차성 사구체신염과 전신적인 질병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이차성 사구체신염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사구체신염은 면역반응이 사구체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원인과 병태생리는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 종류로는 IgA신염, 막증식토리콩팥염, 특발초승달사구체신염, C3 사구체신염 등이 있다. 이차성 사구체신염은 전신적인 질환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사구체 신염이다. 감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사구체 신염으로 사슬알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 심내막염으로 인한 사구체신염, HIV 및 B형 혹은 C형 간염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사구체신염 등이 있다. 면역질환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전신홍반루푸스로 인해 발생하는 루푸스콩팥염이 있다. 혈관염이 원인으로 사구체 신염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결절성 다발동맥염, 육아종증 다발혈관염 등이 원인이 된다. 그 외 유전질환, 악성종양, 약물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도 있다.
증상
다양한 증상이 사구체신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 혹은 만성으로 나타난다. 혈뇨가 발생하여 소변 색이 붉거나 어떤 경우 콜라색으로 진하게 나타날 수 있다. 단백뇨가 동반되어 소변에 거품이 많아질 수 있다. 종종 고혈압이 동반 될 수 있으며 체액이 과도하여 주로 얼굴, 다리에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진단/검사
우선 소변검사를 시행한다. 소변검사를 통해서 적혈구 및 단백질을 측정하여 혈뇨와 단백뇨를 확인 할 수 있다. 혈액검사를 같이 시행하여 신기능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전해질 불균형이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고, 면역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확진은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사구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치료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경우 대부분은 혈압 및 부종 치료를 위한 대증적 치료를 실시하며 심한 경우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차성 사구체신염은 원인이 되는 질병을 치료해야 하며 감염의 경우 항생제, 면역질환과 혈관염의 경우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볼 수 있다.
경과/합병증
사구체신염으로 사구체가 손상되어 급성신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차적으로 신장기능이 떨어지며 만성콩팥병으로 진행 할 수 있다. 신기능이 더 악화되어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며 사구체신염을 원인으로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들도 있다. 사구체신염으로 고혈압이 지속될 수 있으며 단백뇨가 악화되며 신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예방방법
몇가지 유용한 방법이 있으나, 대부분의 사구체신염은 예방방법이 없다. 사슬알균으로 인한 목감기나, 농가진 감염시 빠른 처치가 필요하다. HIV나 간염바이러스 등 이차성 사구체신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한다. 또한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고혈압을 잘 조절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사구체신염 환자들은 식이에서 단백질, 염분, 칼륨 섭취를 제한한다. 또한 철저한 혈압조절이 필요하다.
관련질병
사구체신염 종류로는 IgA신염, 막증식토리콩팥염, 특발초승달사구체신염, C3 사구체신염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 사구체신염은 사슬알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 심내막염으로 인한 사구체신염, HIV 및 B형 혹은 C형 간염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사구체신염, 루푸스신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육아종증 다발혈관염 등이 있다. 사구체신염이 지속되면 신기능이 감소하여 급성신손상이 발생하며, 더 진행하면 만성콩팥병, 더 진행하여 말기신부전으로 진행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