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 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골수 조직을 생검하고, 골수 흡입 검체를 도말하여 골수의 세포 충실성이나 골수 내 세포의 이상을 평가하는 검사
신체기관
골수
정의
골수는 혈구세포를 생성하는 조혈 공간을 말한다. 유년기에는 모든 뼈에 골수가 존재하여 대부분의 골수에서 조혈이 일어나나, 나이가 들면서 골수가 지방세포로 대치되기 시작하여 성인은 척추, 늑골, 골반 등의 사지의 근심부분에만 있다. 대개는 뒤엉덩뼈 능선(posterior iliac crest)에서 골수 검사를 시행한다. 골수 흡인과 생검(살아 있는 생물의 조직을 진단이나 병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채취하는 것)을 시행하여 골수의 세포 충실성을 평가하고 골수 내 세포의 형태학적, 수적 이상을 평가하며 비조혈세포의 침습 등을 평가하는 검사다.
종류
골수 흡인(bone marrow aspiration, 골수에 있는 조혈세포를 흡인하는 것), 골수 생검(bone marrow biopsy, 피질골이 둘러싼 잔가지골 사이의 조혈 공간을 조직 검사하는 것)
검사주기
검사 질환에 따라 다르며, 혈액질환의 진단 또는 치료 중 추적 관찰 시 검사할 수 있다.
준비사항
골수 검사 부위에 소독을 하며 필요한 경우 진통제를 투여 받을 수 있다. 혈우병 또는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혈액 응고 이상을 교정한 후 생검을 시행한다.
검사방법
1) 골수 흡인침으로 골수를 흡입하여 가능하면 즉시 슬라이드를 제작한다. 방법은 말초혈액 슬라이드 제작과 동일하게 도말하거나 골수입자를 슬라이드에 찍어서 각인(imprint)하는 방법, 골수입자를 슬라이드 위에 올려 놓은 후 다른 슬라이드로 부숴서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 2) 골수 생검과 그 응집체는 포르말린 등으로 고정하여 파라핀이나 플라스틱에 넣어 절편을 만들어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염색을 한다. 3) 염색: 골수 도말 표본은 라이트(Wright) 염색이나 메이-그룬왈드 김자(May-Grunwald Giemsa) 염색을 시행한다. 골수 생검 및 응고절편은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 또는 김자(Giemsa) 염색을 시행한다. 4) 현미경 관찰 5) 골수세포 감별 계산: 도말 표본에서 500개의 세포를 1,000배 현미경 하에서 세포들이 잘 펴진 곳에서 형태학적 관찰 결과를 토대로 시행한다.

골수 검사 슬라이드
소요시간
소요시간은 30분 이내이다.
주의사항
검사 부위의 감염을 막기 위해 소독을 하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할 것. 검사 후 지혈을 위해 모래주머니나 압박 붕대를 감고, 엉덩뼈 능선에서 채취 시 수시간 누워서 지혈이 된 것을 확인하고 활동하여야 한다. 검사 부위의 감염을 막기 위해 소독을 하고 청결을 유지한다.
결과
골수 결과 보고서에는 말초혈액세포의 수나 모양에서의 이상 소견 유무와 종류, 골수 내 조혈세포의 수나 모양에서의 이상 소견, 비조혈 세포의 이상 소견, 전이암의 존재 여부 및 골수 섬유화 여부가 기록되어 있다. 골수세포의 감별 계산도 포함되며 상기 정보 및 임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을 기술한다.

골수 검사 결과
부작용/후유증
통증을 수반하는 검사로 일반적으로 시술 전 진통제를 투여한 후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합병증으로는 감염과 출혈 등이 있을 수 있고, 적절하게 소독한 상태에서 상처 없이 시행하면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생검이 끝난 후에 수시간 안정을 취하며 생검 부위의 지혈이 된 것을 확인한 후 활동을 한다.
진단질병
빈혈,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종양, 림프종, 육아종성 염증의 골수 침습, 결핵혈액 질환(빈혈,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등), 종양, 림프종, 육아종성 염증의 골수 침습, 결핵, 광범위한 곰팡이 감염증, 감염성 질환(히스토플라스마증), 리소좀의 저장 (질환니만픽(Niemann-Pick)병, 고셰병), 원인불명 열
관련검사법
염색체 검사, 핵산 검사, 배양 검사, 면역화학 염색 검사, 말초혈액 도말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