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우암
[Renal pelvis tumor]
신장의 신우에 발생한 이행세포암으로, 신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약 7%를 차지한다.
신체기관
신우, 신장
혈뇨, 방광암
정의
신우암은 신장의 신우에 발생한 이행세포암을 말하며, 신장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약 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우는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가기 전에 일시적으로 모이는 곳입니다. 이행세포암은 방광, 요관, 신우 등의 내피를 덮은 이행상피세포로부터 발생한 암을 말합니다. 이행세포암의 거의 대부분은 방광암이고, 신우암은 이행세포암의 약 5% 미만으로 드문 편입니다.
원인
신우암의 원인으로 가장 확실한 것은 흡연입니다. 그 외에도 직물, 가죽, 플라스틱, 고무 등과 관련된 직종에서 다루는 각종 화학 약품에 노출된 경우에 그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방광암 환자에서도 신우암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증상
혈뇨와 등쪽 또는 옆구리의 통증이 신우암의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은 신우암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나, 다른 질병들도 이와 같은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초기의 신우암에서는 아무런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며, 암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상들이 생기게 됩니다.
진단/검사
소변검사, 방광요로내시경 검사, 요로조영술(IVP), 복부 CT 촬영, 복부 초음파 등이 진단에 이용됩니다. 소변검사는 소변에 혈액, 당분, 단백질 그리고 비정상적인 세포들이 발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로내시경은 내시경을 요도를 통해서 삽입하여 방광을 거쳐 요관과 신우를 모두 관찰할 수 있으며 암이 의심이 되는 부분에 대해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요로 조영술은 조영제를 혈관을 통해 주입하여 조영제가 신장, 신우, 요관, 방광, 요도를 거쳐 나가는 동안 X-ray를 촬영하여 영상을 얻는 방법으로 병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부 CT 촬영과 복부 초음파로 신우암의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치료
여러 가지 방법이 신우암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신우암의 병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신우암의 표준 치료는 수술입니다. 수술을 통해 암이 발생한 쪽의 신장과 요로, 그리고 방광의 일부를 절제합니다. 그 외에 항암 화학 요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신우암의 경과는 암의 병기에 달려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된 신우암은 대부분 완치될 수 있습니다. 신우암에 걸렸던 사람들은 방광에서의 재발 빈도가 높기 때문에 금연을 하고 소변검사나 복부 CT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한쪽 신장을 제거하였다 하더라도 대부분은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습니다.
예방방법
흡연은 신우암의 발생 확률을 높입니다. 금연이 필요합니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금연이 필요합니다.
관련질병
혈뇨, 방광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