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페이로니병
[Peyronie’s disease]

한 줄 설명

발기 시 음경이 휘는 질환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비뇨기과

관련
신체기관

음경

관련 질병

발기부전, 성교통

정의

1561년 팔로피우스(Fallopius)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음경 백색막 내에 생긴 섬유화 결절이 백색막의 팽창을 방해하여 발기될 때 음경이 구부러진다. 발기되거나 사정할 때 통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만족스러운 성교를 방해하기도 한다. 중년의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하고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다. 국외의 문헌에 의하면 30대는 0.15%, 40대는 3.0%, 50~60대는 4.0%, 70대 이상은 6.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정상 음경과 페이로니병 음경

원인

원인은 불분명하다. 음경에 생긴 작은 외상이나 상처가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과정에서 잘못되어 발생할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는 TGF-beta라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인자가 증가되어 있다. 아버지나 형제가 페이로니병을 가지고 있거나, 나이가 들수록 위험 요인은 증가한다.

증상

페이로니병의 4대 증상은 발기 시 음경의 통증, 음경이 휘거나 짧아짐, 음경에서 만져지는 결절, 발기부전이다. 극히 드물게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더 진행하게 된다. 발기부전은 8~52%에서 동반되며, 페이로니병이 발기부전의 직접적인 원인인 경우는 5% 정도로 추정된다.

진단/검사

진단은 병력과 신체검사만으로 가능하다. 음경수술, 요도의 기계적 조작, 음경 손상, 약물복용, 가족력, 발기부전의 고위험인자 등이 있는지 확인한다. 발기 시 음경의 비정상적 양상, 발기력 정도를 확인한다. 간혹 인위적 발기유발검사, 음경 복합 도플러 초음파촬영술을 하기도 하는데, 수술적 교정을 전제로 하는 경우 흔히 시행하게 된다.

치료

페이로니병의 치료에서 과거 사용되었던 방사선 조사, 초음파치료, 투열요법, 레이저 치료 등은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먼저 고려할 수 있는 치료법은 경구 약물요법인데, 아미노벤조산 칼륨이 사용되고 있고, 그 외 비타민 E가 초기치료에 이용된다. 아미노벤조산 칼륨은 50% 이상의 성공률이 보고되지만, 비용이 비싸고 소화기장애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한다. 테르페나딘(terfenadine), 펙소페나딘(fexofenadine) 같은 항히스타민제나 타목시펜(tamoxifen) 같은 경구용 약제가 사용된다. 음경 내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도 있는데,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같은 부신피질호르몬제나 베라파민(verapamil) 같은 칼슘통로차단제가 많이 사용된다. 성생활이 힘들 정도로 증상이 심하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데, 수술방법은 음경단축술, 음경연장술, 음경보형물삽입술 등이 있다. 수술적 치료는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약제가 개발되면서 점차 마지막 치료법으로 자리 잡아가는 추세에 있다.

경과/합병증

페이로니병은 진행성 질환으로, 병의 활동기에는 통증을 동반하며 12~18개월 이후 안정기로 접어들면서 통증은 사라지고 음경이 휘는 소견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 음경이 심하게 휘어서 성교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고 발기부전이 동반되기도 한다.

예방방법

음경의 외상과 상처가 누적되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해야 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음경의 외상과 상처를 주의해야 한다.

관련질병

발기부전, 성교통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