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외계인 손 증후군
[alien hand syndrome]

한 줄 설명

한 손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여 마치 손 자체가 의지를 가진 것처럼, 혹은 외부의 어떤 힘에 이끌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상태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신경과

정의

외계인 손 증후군이란 한 손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비정상적, 자동적, 비협력적으로 움직여 의지적으로 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를 통틀어 지칭하며 그 자체로 진단명은 아니다. 이 증후군은 비교적 드문 신경학적 증상 증후군으로 외상, 뇌경색, 뇌출혈, 동맥류 출혈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계인 손의 불수의적 움직임은 다른 이상 운동에서와 달리 목적성을 지닌 듯이 보이는 경우가 많아 외계인 손 증후군을 가진 환자들은 마치 자신의 한 손이 외부의 다른 힘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거나, 손이 손 자체의 영혼이나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느끼기도 한다.

원인

인간의 뇌는 좌반구와 우반구로 크게 나뉘어져 있으며 뇌량이라는 구조물이 이 둘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뇌량에 여러 원인으로 병변이 발생하게 될 경우 양측 뇌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이 떨어져 양측 반구의 정보 소통이 어려워져 이른바 ‘분할뇌’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외계인 손 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드문 경우에 이마엽 안쪽의 병변으로도 외계인 손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아마도 이 부위에 보조 운동 영역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더욱 드물게는 정수리엽이나 시상의 병변으로도 외계인 손 증후군이 나타난 예가 보고된 바 있다. 가능한 병변으로는 뇌경색, 뇌출혈, 동맥류의 파열, 뇌량절제술, 림프종을 비롯한 종양, 뇌외상 등이 있다.

증상

한쪽 팔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인다. 다른 편 팔과 협조하지 않으며 움직이고자 할 때 움직이지 않거나 본인의 의지와 다른 행동을 한다. 대개는 무의미한 반복 운동이라기보다는 마치 목적성을 지닌 것 같은 움직임을 보일 때가 많으며 이러한 운동은 자신의 의지에 의해 조절이 되지 않는다. 심지어는 다른 편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자신의 몸을 잡아 뜯거나 꼬집는 등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진단/검사

임상적인 증상, 신경학적 검진을 통해 외계인 손 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으며, 임상 양상, 경과 및 뇌 자기공명영상(MRI) 등 뇌 영상검사를 바탕으로 병변의 종류를 감별하게 된다.

치료

원인에 대한 치료가 중요하다. 뇌경색이나 뇌출혈의 경우, 급성기의 안정 및 생체징후 감시, 병변의 크기 및 주위 부종의 크기에 따른 뇌압의 조절이 필요하며, 내과적인 방법으로 뇌압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개두술을 실시한다. 뇌경색의 경우, 빠른 원인 분석 및 이에 따른 혈전용해제, 항혈소판제제, 항응고제의 투여가 필요하다. 뇌출혈의 경우, 고혈압성 뇌출혈인지, 비고혈압성 뇌출혈인지를 감별하여야 하며, 원인에 따라 항고혈압 제제를 사용하고, 뇌동맥류나 혈관기형에 대한 수술 또는 시술을 요할 수 있다. 뇌종양에 대해서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등을 시행한다. 증상 자체에 대해서는 재활치료, 인지 치료 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경과/합병증

증상의 경과는 원인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뇌경색이나 뇌출혈의 경우 급성기를 지나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추세를 보일 수도 있으나, 병변의 크기에 따라 예후가 다양할 수 있다. 뇌종양에 의한 경우 치료를 하지 않으면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서 증상이 악화되거나 인지기능의 장애, 간질 발작 등 다른 증상이 발생 혹은 악화될 수 있고,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를 하더라도 종양 주변의 조직 손상으로 증상이 완전히 호전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외계인 손 증후군을 보이는 팔에 의한 외상이나, 보행 시에 부조화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낙상을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 증상 자체에 의한 합병증보다는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각각의 원인(뇌경색, 뇌출혈, 뇌종양 등)에 따른 합병증에 더욱 주의해야 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