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만성 기관지염은 담배 등 유해물질에 기관지가 장기간 노출되어 지속적인 염증상태에 놓인 질병으로 임상적으로는 연속해서 2년 이상 적어도 1년에 3개월 이상 기침, 가래가 있는 경우 진단이 가능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천식[asthma]

천식이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져 기침, 천명 (숨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

폐렴[pneumonia]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이다.

뇌정맥 혈전증[cerebral venous thrombosis]

뇌에 발생하는 혈전(주로 혈소판과 세포성분을 둘러싼 섬유소로 구성된 혈액성분의 응집)은 대부분 뇌동맥에 발생한다. 드물게 혈전이 뇌정맥 계통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뇌정맥혈전증이라고 한다. 이 경우 혈전에 의해 뇌정맥이 막혀 뇌에서 나온 혈액이 심장으로 잘 운반되지 못하므로 뇌조직에 다량의 혈액이 저류되어 뇌의 ...

편두통[migraine]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 불편한 두통과 위장관 증상을 동반한 경우로, 단순히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병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국내의 조사에 의하면 편두통의 유병률은 6.5%로 추산되며 여자...

총 게시물: 272 조회순 보기

삼각섬유연골복합체 파열의 수술적 치료법

조회수: 64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뇌신경의 하나인 삼차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의 통칭

조회수: 2,704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삼차신경통은 격렬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안면신경통으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심한 통증 중 하나이며 사람의 얼굴 감각을 담당하는 제 5 뇌신경인 삼차신경영역에서 대부분 편측성의 심한 통증이 발작성으로 나타납니다. 통증의 지속 시간은 순간에서 수초간, 혹은 수분 간으로 홀연히 소실됩니다. 일반적인 발생빈도는 100,000명 당 4명으로 발생환자의

조회수: 65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삼차신경통은 격렬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안면신경통으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심한 통증 중 하나이며 사람의 얼굴 감각을 담당하는 제 5 뇌신경인 삼차신경영역에서 대부분 편측성의 심한 통증이 발작성으로 나타납니다. 통증의 지속 시간은 순간에서 수초간, 혹은 수분 간으로 홀연히 소실됩니다. 일반적인 발생빈도는 100,000명 당 4명으로 발생환자의

조회수: 71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고막의 천공이나 이통이나 발열 등의 급성 염증 증상 및 증후 없이 중이강 내에 여러 형태의 점성도를 가진 저류액이 침착되는 질환

조회수: 69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손목을 굽히거나 펴는 근육이 시작되는 팔꿈치 부위에 동통이나 국소 압통이 생기는 증후군

조회수: 2,181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상복부에 위치한 간, 담낭, 담도, 췌장, 비장을 초음파로 평가하는 검사

조회수: 3,659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상상 임신은 드물지만 신체 및 정신적으로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여성이 실제로 임신하지 않았음에도 임신과 관련된 여러 가지 몸의 변화가 나타나는 질병

조회수: 79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상아질 노출로 인한 시린 증상

조회수: 69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치아 상아질의 유전성 결함을 가진 질환

조회수: 84 관심콘텐츠 등록자수: 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