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의 방법

조회수 : 40040 작성일 : 2017-09-28

■ 2차원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치료계획 및 치료과정이 간단하여 방사선치료가 시급한 응급상황이나 통증완화를 위한 단기간 치료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 

 환자에게서 얻은 CT 영상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주변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줄이는 동시에 암 부위에 더 많은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습니다.

 

■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암 조직에 충분한 방사선을 조사하지 못하는 경우에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각 조사면을 여러 개의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마다 방사선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암 조직에는 많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정상 조직에는 적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경부암의 경우 기존의 방사선치료 방법으로는 침샘 파괴로 인한 구강건조증의 발생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침샘으로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하여 구강건조증의 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전립선암의 경우에도 전립선과 직장, 방광이 매우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직장, 방광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IGR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중에 얻어진 환자 영상을 기반으로 암의 위치와 움직임을 확인하여 이를 보정한 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치료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를 줄이고 암 치료의 경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체부정위방사선치료(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일반적인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보통 3~5회 정도로 치료 기간이 길지 않고, 한 번 치료할 때마다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됩니다. 주로 조기 폐암, 간암, 전이성 암 등에서 좋은 치료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다른 암 치료에도 이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 근접 방사선치료(Brachytherapy)

선형가속기를 이용하는 외부방사선치료와는 달리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동위원소를 인체 조직 안에 직접 삽입하거나 자궁, 비인강, 기관지, 식도, 담도 등에 관을 통해 넣어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암 덩어리 속 혹은 주변에 직접 방사선치료를 하게 되므로 정상 조직으로의 방사선량은 최소화하면서 암 조직에 대한 방사선량은 최대화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 MR유도방사선치료(MR-guided radiotherapy)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경우 치료 중 환자 몸속 암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 X선 촬영이나 전산화단층촬영(CT)을 이용합니다. CT를 이용하면 몸 안의 암과 정상장기의 위치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T는 환자의 방사선 피폭을 일으키고 연부 조직 속에 있는 암을 찾아내기 어렵습니다. 또한, 방사선이 조사되는 도중에는 CT 촬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암이나 간암처럼 호흡에 따라 암의 위치가 시시각각 변하는 경우에는 치료 중 암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습니다. MR유도방사선치료는 CT 기반 방사선치료의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치료 방법입니다. 서울대학교암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ViewRay는 방사선치료기에 부착된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통해 몸속의 암과 정상조직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확한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합니다. 기존 장비의 CT와 달리 ViewRay의 MRI는 촬영 시 방사선 피폭이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방사선이 몸에 조사되는 도중에도 MRI를 촬영하기 때문에 호흡에 따른 종양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ViewRay는 유방암, 폐암, 간암, 복부암의 방사선치료에 사용됩니다.


external_image

홈페이지 오류신고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진료과 및 의료진 추천이나 진료일정 및 상담 문의는 진료 예약센터로 전화해 주십시오. 예약센터 : 1588-5700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

만족도 통계

만족도 통계(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