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균장갑 착용이 혈액배양 오염률 낮춘다
무균장갑 착용이 혈액배양 오염률 낮춘다
-
항상 무균장갑 착용하는 것이 혈액배양 오염률을 50%까지 낮춘다는 연구결과 최고
권위 미국내과의학저널에 소개
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오명돈, 박완범 교수팀은 혈액배양 검체를
채취하기 전 무균장갑을 항상 착용하는 것이 혈액배양 오염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2월 1일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내과 의학지인 미국내과의학저널(Annals of internal medicine, impact factor=16.6)에 가장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소개되었다.
혈액배양검사는 감염병 진단을 위해 임상에서 흔히 시행하는 검사지만 검체가 오염될 경우 진단에 혼선을 일으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검체 채취 시 무균장갑 착용의 효과 여부가 불확실하여 최근까지도 일부 검사과정에서만 사용을 권장해왔다.
연구팀은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64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혈액배양 검체 채취 시 항상 무균장갑을 착용하는 군과 필요할 때만 착용하는 군 간의 오염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상 무균장갑을 착용하고 시행한 5265쌍의 혈액배양과 그렇지 않았던 5255쌍의 혈액 배양검사에서 오염률은 각각 0.6%와 1.1%로 무균장갑을 착용할 시 약 50%까지 오염률이 낮게 나타났다.
박완범 교수는 “병원체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검체 채취에 대한 지침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검체 오염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무균장갑의 효용성이 증명된 만큼 각 병원은 혈액배양 검체 채취 시 무균장갑의 의무적인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