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창상봉합술
[Suture]

한 줄 설명

피부나 조직의 상처를 꿰메는 수술

진료과

외과

관련
신체기관

피부

정의

상처로 인해 벌어지거나 수술을 위해 벤 조직을 꿰매어 맞추어 주는 것을 말한다.

준비사항

봉합사(실), 바늘 집게, 핀셋, 가위, 소독제제, 거즈, 반창고 등이 필요하다.

시술방법

봉합사의 크기와 바늘의 종류를 손상 부위와 깊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단순 단속 봉합법은 외과의사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봉합법이다. 절단면에서 상처의 깊이만큼 떨어진 곳에 봉합 바늘을 삽입하며, 피하층으로 들어가면서 바깥쪽보다 깊은 쪽을 더 넓게 포함한다. 봉합사의 매듭이 절단면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세 번 이상 매듭을 지어 풀리지 않도록 하며, 다음 봉합에 걸리지 않을 길이로 자른다.

경과/합병증

봉합 후 2-3일이 지나면 피부 봉합 부위가 어느 정도 붙게 된다. 그 아래의 지방, 근육 및 근막은 며칠 더 지나야 안정적으로 붙는다. 피부 아래 조직이 적절하게 치유되고 있다면 보통 수술 후 2일 정도 지나면 상처 부위에 진물이 잘 묻지 않는다. 며칠이 지나도 진물이 묻어 나오면 지방괴사나 상처 감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상처 봉합 주위가 붉게 변하고 붓고 누를 때 압통이 발생하는 경우 상처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부작용/후유증

상처 감염, 상처 벌어짐, 흉터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생활가이드

피부 상처가 발생한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응급처치는 지혈이다. 외상으로 인한 상처 봉합 후에는 파상풍 예방주사가 필요한지 의료진에게 확인하여야 한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