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봉합술
[Suture]
피부나 조직의 상처를 꿰메는 수술
외과
신체기관
피부
정의
상처로 인해 벌어지거나 수술을 위해 벤 조직을 꿰매어 맞추어 주는 것을 말한다.
준비사항
봉합사(실), 바늘 집게, 핀셋, 가위, 소독제제, 거즈, 반창고 등이 필요하다.
시술방법
봉합사의 크기와 바늘의 종류를 손상 부위와 깊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단순 단속 봉합법은 외과의사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봉합법이다. 절단면에서 상처의 깊이만큼 떨어진 곳에 봉합 바늘을 삽입하며, 피하층으로 들어가면서 바깥쪽보다 깊은 쪽을 더 넓게 포함한다. 봉합사의 매듭이 절단면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세 번 이상 매듭을 지어 풀리지 않도록 하며, 다음 봉합에 걸리지 않을 길이로 자른다.
경과/합병증
봉합 후 2-3일이 지나면 피부 봉합 부위가 어느 정도 붙게 된다. 그 아래의 지방, 근육 및 근막은 며칠 더 지나야 안정적으로 붙는다. 피부 아래 조직이 적절하게 치유되고 있다면 보통 수술 후 2일 정도 지나면 상처 부위에 진물이 잘 묻지 않는다. 며칠이 지나도 진물이 묻어 나오면 지방괴사나 상처 감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상처 봉합 주위가 붉게 변하고 붓고 누를 때 압통이 발생하는 경우 상처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부작용/후유증
상처 감염, 상처 벌어짐, 흉터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생활가이드
피부 상처가 발생한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응급처치는 지혈이다. 외상으로 인한 상처 봉합 후에는 파상풍 예방주사가 필요한지 의료진에게 확인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