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마취
[anesthesia]

한 줄 설명

약물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무감각 또는 통증에 대한 인지능력 상실을 유도하는 처치법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마취통증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수술을 시행받는 부위 또는 전신

정의

마취(痲醉)란 1세기경 그리스의 의사이며, 식물학자인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Pedanius Dioscorides, 40~90)는 환자에게 만드라고라(맨드레이크)의 뿌리로 만든 와인을 마시게 한 후 수술을 하면 통증에 반응이 없었는데, 이러한 최면 상태를 ‘anesthesia(뜻: 무감각)’라고 하였다. 이는 그리스어로 없다는 의미의 ‘an(negative)’과 감각이라는 뜻의 ‘aisthesis(sensation)가 합쳐진 말이다. 1724년 베일리(Bailey)의 영어사전에는 마취를 ‘감각의 결함(a defect of sensation)’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마취란 무감각 또는 통증에 대한 인지능력이 없다는 말이다. 이렇게 마취는 18세기까지 감각의 소실만을 뜻하는 단어로 쓰이다가, 1846년 모튼(Morton)이 에테르(ether)를 사용하여 마취를 성공시킨 후, 올리버 홈즈(Oliver Wendell Holmes, 1809~1894)가 에테르에 의해 유발된 환자의 상태를 ‘anesthesia’라고 이름 붙이면서 마취는 통증과 감각의 소실뿐만 아니라 의식의 소실에 대한 의미도 포함하게 되었다. 전신 마취는 수술을 위해 시행되며, 무통, 기억상실, 의식소실, 근육이완 그리고 반사차단이 이루어진 상태를 말하고, 부위 마취는 마취된 부위에만 국한되어 무통과 근육 이완이 이루어진 상태를 말한다. 마취된 상태는 다시 본래 마취 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수술을 위한 마취는 넓은 의미에서 수술 전과 후, 그리고 수술하는 동안 통증의 완화는 물론 환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정신 및 육체적인 변화를 관리하는 의술이다. 또한 최근 의료 분야에서 마취는 수술을 위해서 수술실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검사 중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을 없애거나, 환자의 움직임이 없어야 시행할 수 있는 각종 검사나 중재적 시술을 진행하기 위해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마취의 종류는 크게 전신 마취(general anesthesia)와 부위 마취(regional anesthesia)로 나뉜다. 1. 전신 마취 전신 마취는 휘발성 혹은 가스성 흡입 마취제를 사용하는 흡입 마취와 주사용 약제를 정맥 주사 혹은 근육 주사하는 마취, 또는 직장 내에 약제를 삽입하는 마취방법이 있다. - 흡입 마취 현대의 흡입 마취제의 발달은 1275년 스페인 화학자인 래이문두스 룰리우스(Raymundus Lullius)가 에테르(ether)를 발견하면서 시작되었지만, 흡입 마취 자체는 스위스의 의사이며 연금술사인 파라켈수스(Paracelsus)가 에테르를 닭에게, 1790년 험프리 데이비(Humphry Davy, 1778~1829)가 발치 시 아산화질소(N2O)를 사람에게 사용한 것이 시초라고 볼 수 있다. 1800년 험프리가 수술을 위한 마취에 아산화질소를 사용하자고 제안하였지만 인간에 대한 생리학적인 지식과 화학 등의 학문이 별로 발달하지 않은 시기라서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았다. 이후 마취제의 발달은 1831년 미국의사인 사무엘 거스리(Samuel Guthrie)가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발견하여 산부인과 의사인 제임스 심슨(James Simpson, 1811~1870)이 1847년 처음 임상에 이용하였다. 17세기경에는 발렌틴(Valentine)에 의해 에틸클로라이드(ethyl chloride)가 처음 제조되고, 1847년 플로렌스(Flourens)에 의해 마취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부작용으로 인해서 현재는 국소 냉각마취에 사용하고 있다. 이어서 에틸렌(ethyle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디비닐에테르(divinyl ether), 싸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할로탄(halothane), 엔플루란(enflurane), 이소플루란(isoflurane), 메톡시플루란(methoxyflurane), 세보플루란(sevoflurane), 데스플루란(desflurane) 등이 개발되었다. 임상 경험과 연구들의 결과로 개발된 흡입 마취제의 부작용들이 자세히 알려지면서 일부는 사용되지 않게 되고, 현재는 부작용이 극히 적은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을 비롯한 일부 흡입 마취제들만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새롭게 개발된 좋은 흡입 마취제들과 함께, 개량된 마취기, 기화기 및 여러 감시 장비를 통하여 흡입 마취 시 과거보다 신속한 마취유도와 마취로부터의 각성, 그리고 안정된 수술 마취유지가 가능해졌다. - 정맥 마취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가 혈액순환에 대해 밝히고, 이를 근거로 1665년 크리스토퍼 렌(Christopher Wren)과 티모시 클락(Timothy Clark)은 동물의 혈관에 약물을 주입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같은 해에 요한 엘솔츠(Johan S. Elsholtz, 1623~1688)는 진통제나 마취제를 정맥에 주사하여 전신 마취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아편유사제(opioid)용액을 정맥에 주사하였다. 이후 각종 정맥 주사용 마취 약제들, 주삿바늘 및 주사기가 개발되고,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정맥 마취가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00년과 1910년 사이에 정맥 마취를 주된 마취로 하는 균형 마취의 개념이 제기되었다. 1901년에 조지 크라일(George W. Crile)은 ‘anociassociation(외과적 쇼크 방지 마취법)’이론을 발표하였는데, 그는 수술과 관련되어 발행되는 정신적인 자극의 차단은 가벼운 전신 마취로, 그리고 유해한 자극은 국소 마취로 차단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는 이상적인 마취로 받아들여졌으며, 여기에 부응하기 위해 전신 마취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약물의 사용이 시도되었으나 기대만큼의 효과는 없었다. 이후 개발된 다양한 약제들이 있었으나,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정맥 마취는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정맥 마취제 개발의 초점은 쉽게 잠들고, 작용 시간이 짧으며,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찾는 데 모아졌다. 결국 조건에 부합하는 다양한 정맥 주사용 마취약제들(미다졸람(midazolam), 프로포폴(propofol), 알펜타닐(alfentanil), 레미펜타닐(remifentanil), 수펜타닐(sufentanil) 및 근이완제인 베큐로니움(vecuronium), 아트라큐리움(atracurium)등)이 개발되었고, 1997년에는 프로포폴(propofol)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약물과 함께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목표농도 조절 주입(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장치를 통해 흡입 가스 없이 오로지 정맥주사만으로도 마취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마취 방법을 ‘완전 정맥 마취(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라 부르고 있다. 2. 부위 마취 부위 마취는 척추 마취(spinal anesthesia),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thesia), 국소 마취(local anesthesia) 등의 방법이 있다. 경막외 마취는 주사침을 넣어 약제를 투여하는 부위에 따라 흉추경막외(thoracic epidural), 요추경막외(lumbar epidural) 및 미추경막외(caudal epidural) 마취로 구분되며, 국소 마취는 국소 침윤마취(infiltration), 부위차단(field block) 및 말초신경차단(peripheral nerve block) 등이 있다. - 척추 마취, 경막외 마취 및 미추(꼬리뼈) 마취 척추 마취, 경막외 마취, 미추 마취는 복잡한 장비 없이도 마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마취 기기들이 발달되기 이전부터 시행되어온 오래된 마취 방법이며, 여전히 자주 시행되고 있다. 최근 새로운 국소 마취제의 개발과 아편유사제의 활용, 급, 만성 통증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마취술은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척추 마취는 거미막밑공간(subarachnoid space)에 있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미막밑 마취(subarachnoid anesthesia)라고도 한다. 경막외 마취는 경막(dura meter)과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 사이의 경막외 공간(epidural space)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하는 방법인데, 특히 엉치뼈(sacrum)의 경막외 공간에 해당되는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하는 것은 미추 마취라 한다. 척추 마취는 주입된 국소 마취제가 뇌척수액을 따라 퍼지기 때문에 그 퍼지는 정도에 따라서 차단 범위가 결정되며 적은 양의 국소 마취제만이 있으면 된다. 반면, 경막외 마취는 국소 마취제가 주입된 분절 주위만 한정하여 마취할 수 있으며, 척추 마취에 비해 많은 양의 국소 마취제가 필요하다. 또한 경막외 마취는 마취 효과가 느리게 나타나지만, 카테터를 삽입하여 국소 마취제를 투여해서 오랫동안 마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마취 방법들은 신체의 일부만 마취시키기 때문에 부위 마취(regional anesthesia)라고도 하고, 환자의 의식은 소실시키지 않고 신경 전달 경로를 차단한다고 하여 전도 차단(conduction block)이라고도 한다. 이 부위 마취들은 전신 마취의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수술이 끝난 후에도 환자들이 통증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수년 전부터는 작용발현이 빠르고 마취 효과가 확실한 척추 마취의 장점과 오랜 기간 마취를 유지할 수 있는 경막외 마취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척추-경막외 병용마취를 시행하기도 한다.

준비사항

마취 전에는 전신 마취나 부위 마취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시간 이상의 금식이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하는 수술에 합당하는 검사를 통해 수술 전 환자 상태에 대해서 평가되어야 한다. 특히 환자의 주요 장기의 기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심장기능, 폐기능, 뇌혈관계, 간담도계, 신장 기능의 평가를 포함하여, 환자의 과거력 상 주요 질환의 경과에 대한 평가 및 마취의 위험도에 대한 평가 및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가 투야 중인 약물을 수술과 마취에 맞게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시술방법

상기 설명된 마취 방법에 따라 마취통증의학 전문의와 보조 인력에 의해서 시행된다. 전신마취의 경우 마취 유도, 마취 유지, 마취 종료의 3단계를 거친다. 마취 유도의 경우 기본 감시 장비의 부착, 마취 유도제 주사, 기관 내 삽관 및 인공호흡기 설정, 혈관 내 도관 삽입 등의 과정을 거치고 마취 유지의 단계는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필수 검사 결과를 정상으로 유지하고, 적절한 마취의 깊이를 유지한다. 마취 종료의 단계에서는 전신마취의 경우 근육 이완된 상태를 역전시키고, 마취제 주입을 중단하고 환자의 의식을 깨우는 과정과 기관 내 삽관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환자를 마취회복실로 이송하여 회복 단계를 감시하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소요시간

30분~ 2시간 정도 소요된다. 마취에 의해서 걸리는 소요시간은 수술 시작 전에 마취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술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 마취로부터 환자를 회복시켜야 하므로 마취시간은 실제 수술시간보다는 수십 분에서 한두 시간의 시간이 더 소요된다. 따라서 실제 마취시간은 각각의 수술 시간보다 통상 30분에서 1~2시간 정도 더 긴 시간이며, 환자에 따라 더 소요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수술 전 마취를 시술하는 데 있어서 걸리는 시간은 짧게는 수분 길게는 한 시간가량 소요된다. 하지만 시간은 환자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수술 종료 후 회복단계는 회복실 체류시간까지 포함하면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주의사항

수술 전 검사 및 금식 등의 지시사항을 지킬 것 마취를 담당하는 의료진이 마취 전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것은 마취 중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조치가 취해지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환자는 마취 전 평가 시에 본인이 지니고 있는 신체 상태에 대해서 숨김없이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그리고 수술 전 필요한 검사를 이행하고, 수술 전 금식 등 의료진이 지시한 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경과/합병증

마취에서 회복되는 시간은 해당 수술과 환자마다 다르지만, 전신 마취의 경우 보통 수 시간 후면 완전히 회복하게 되며 가스의 배출이 자각되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식이를 시작할 수 있고, 부위 마취의 경우 식이는 수술 후 의사의 지시에 따라 바로 가능하지만, 역시 마취를 시행한 부위의 감각이나 운동능력은 수 시간 후에 마취 전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마취 기술 및 감시 장비의 발달로 대부분 안전한 마취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나, 기관 내 삽관에 의한 합병증, 혈관 내 도관 삽입으로 인한 합병증, 수술 및 출혈로 인한 저혈압, 쇼크, 심한 경우 주요 장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심각한 합병증은 수술의 위험 및 환자의 기전 질환의 상태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부작용/후유증

전신 마취 후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은 가볍게는 기도부위(목)의 이물감으로부터 치아 손상, 폐렴, 사망에 이르기까지 나타날 수 있다. 부위 마취의 경우, 가볍게는 시술 부위의 통증, 일시적인 배뇨곤란, 마취부위의 일시적인 근력 약화에서부터 효과적인 마취의 실패, 경막천자로 인한 심한 두통, 감염, 사망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다. 발생빈도는 가벼운 증상은 흔하고, 심한 부작용은 그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면 된다.

치료질병

견디기 힘든 통증 및 불쾌한 심리 상태가 예상되는 모든 수술, 시술 및 처치

생활가이드

마취로부터 회복을 위해서 특별하게 추천되는 사항은 없지만, 특히, 전신 마취의 경우에 있어서는 마취에서 깨어난 직후 심호흡을 잘 하면 무기폐 예방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외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금식 및 약물 조절을 잘 해야 한다. 치아 상태를 잘 관리하는 것이 기관 내 삽관에 의한 치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관련치료법

전신 마취, 척추 마취, 국소 마취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