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간의 염증성 질환
신체기관
간
정의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의한 감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만성적으로 간의 염증이 지속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원인
만성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화된 감염성 질환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 등 체액에 의해 감염된다.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은 B형 간염에 감염된 산모로부터 신생아가 출산되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수직감염이다. 이러한 수직감염으로 B형 간염에 걸릴 경우 95% 이상에서 만성 B형 간염으로 진행된다. 또한 어릴 때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 등에 노출된 경우에도 만성 B형 간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춘기 이후의 성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95% 이상에서 신체의 면역력에 의해 바이러스가 모두 제거되므로, 급성 간염의 경과만 보이며 만성 B형 간염으로는 거의 이행하지 않는다.
증상
쉽게 피로해지거나 입맛이 없어지고 구역, 구토, 근육통 및 미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변의 색깔이 진해지거나 심할 경우 피부나 눈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회복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간경변증, 간암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검사
혈액검사를 통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으로 유지되는 경우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6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검사에서 계속해서 양성 반응을 보일 경우 만성 B형 간염을 진단할 수 있다. 만성 B형 간염이 진단된 경우에는 간기능과 B형 간염 바이러스 활동도 검사를 시행하고 간세포암종(간암)의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검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3~6개월 간격으로 혈액을 이용한 간기능 검사 및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검사를 시행하고, 간세포암 표지자(알파태아단백(alpha-fetoprotein)) 검사와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간암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치료
만성 B형 간염에서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또는 페그인터페론(pegylated interferon)을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는 HBV 증식을 억제하고 염증을 완화시키며 간 섬유화를 방지하여, 간기능 손상, 간경변증, 혹은 간세포암종의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항바이러스 치료는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치료가 아니고, 약제별로 효과, 부작용 등의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약제라도 어떤 임상 상황에서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라질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경과/합병증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자연적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제거되는 경우는 드물다.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고 간 섬유화가 진행하면 간경변증 및 간암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방법
만성 B형 간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특히 만성 B형 간염 산모가 아기를 출산하는 경우 신생아가 수직감염되지 않도록 반드시 출산 직후에 B형 간염 백신과 면역글로불린을 투여 받아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는 만성 B형 간염 유병률이 높은 지역이므로 모든 국민이 B형 간염 백신을 접종 받아야 하며, 백신을 투여 받은 후 체내에 항체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도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B형 간염 백신 접종 이후에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백신 접종 여부 또는 항체 형성 여부가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주삿바늘, 면도기, 손톱깎이 등의 기구는 함께 사용해서는 안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된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진료와 검사를 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요한 경우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아 간경변증, 간암 등의 심각한 합병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간암이 발생한 경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의약품, 한약, 건강기능식품 등은 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 여부를 전문의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만성 간질환의 경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도한 음주는 자제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