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나의 전문분야
당뇨병
1형 당뇨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기는 매우 드문 난치병으로 아이가 식사, 운동, 스트레스 조절, 인슐린 치료를 통하여 평생 관리하여야 하는 질병입니다. 아이, 형제와 부모가 당뇨병 관리 때문에 좌절도 많이 느끼고,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어릴 때는 부모의 도움을 받지만, 청소년이 되면 자신과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신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을 꾸준히 찾아가는 청소년이 스스로 혈당을 잘 관리합니다. 당뇨전문간호사, 전문영양사, 사회복지사와 팀을 이른 소아청소년당뇨병교실에서는 우리 아이들이 건강과 꿈을 모두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 교육, 지지, 관리를 지원하여 드리겠습니다.
종양경험자와 만성질환환자의 건강 관리
뇌종양 또는 만성질환을 경험한 아이들의 일상 생활은 비경험자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또한 이들을 키우는 부모님의 일상 생활도 아이들 만큼이나 힘이 듭니다. 특히 시상하부나 뇌하수체 손상이 생긴 경우에는 평생 호르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호르몬 치료뿐만 아니라, 체중관리, 뼈의 발달, 수면, 운동, 식사, 학교생활 등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여 아이가 행복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여 드리겠습니다.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질환, 당뇨병, 터너증후군, 프라더윌리증후군, 성장사춘기장애, 비만
성장사춘기장애로 진단되거나 종양 등의 치료 후에 발생한 뇌하수체 저하증, 요붕증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호르몬 요법을 제공합니다.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후천성 갑상선염으로 인한 갑상선저하증/항진증, 갑상선결절/갑상선암 환자를 위한 특수 갑상선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수술팀, 영상의학과, 핵의학과와의 다학제 진료를 통해 최선의 치료를 제공합니다. 소아 당뇨병 교육팀의 전문의로서 소아기 1형, 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당뇨병 전문간호사, 영양사, 사회복지사와 함께 최선의 교육 및 치료를 제공합니다. 선천성 부신과형성증, 터너증후군, 프라더윌리 증후군 환자에게 영유아기부터 성인으로의 이행기까지 최선의 치료를 제공합니다. 어린이병원에서 진료받은 미숙아, 종양환자를 포함한 모든 만성질환 환자들이 건강한 성인으로 잘 성장하도록 필요하고 도움되는 진료를 제공합니다. 진료내용은 내분비센터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나의 연구 분야
뇌하수체저하증, 갑상선질환, 당뇨병, 터너증후군, 성장사춘기장애
두개인두종, 뇌하수체저하증, 터너증후군를 비롯한 만성질환 환자에서 성인기 비만 및 대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아갑상선암을 비롯한 소아기 갑상선질환의 유전적, 환경적인 병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다학제팀 연구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소아당뇨병 교육팀으로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혈당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으며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성장사춘기장애, 갑상선비대,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병인을 밝히기 위해 전향적인 어린이 코호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DC코호트, IBM코호트 연구).
학력/경력
학력
-
1997 ~ 2003
-
1995 ~ 199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
1984 ~ 19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2010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 현, 교수
-
2006 ~ 2010
서울대병원 소아과학교실 조교수
-
2000 ~ 2006
서울대병원 소아내분비 임상교수
-
1996 ~ 1998
서울대병원 소아내분비 전임의
-
1992. 5. ~ 1996. 2.
서울대병원 전공의
경력
논문
-
제목
The effect of hypothalamic involvement and growth hormone treatment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 patients with childhood-onset craniopharyngioma
-
발표지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
발표년월
2023-6
-
Pubmed URL
-
제목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20 Korean Hypochondroplasia Patients with the FGFR3 N540K variant
-
발표지
EXPERIMENTAL AND CLINICAL ENDOCRINOLOGY & DIABETES
-
발표년월
2023-3
-
Pubmed URL
-
제목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hypoparathyroidism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ediatric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
발표지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
발표년월
2023-3
-
Pubmed URL
-
제목
DNA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prenatal exposure to sulfur dioxide and childhoo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
발표지
SCIENTIFIC REPORTS
-
발표년월
2023-3
-
Pubmed URL
-
제목
Establishing reference values for percentage of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nd their associ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
발표지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
발표년월
2023-2
-
Pubmed URL
주요저서
-
소아내분비학 (개정판)
광문출판사
2004
-
소아당뇨병, 올바로 알고 관리하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건강정보
언론보도
15 | KBS1 | [908회] 1형 당뇨인 율아의 소망 | 2024-05-15 |
14 | MBC | 평생 고통받는 1형 당뇨 환자들 "중증 질환 인정이라도‥" | 2024-03-30 |
13 | 연합뉴스 | 키 크는 주사, 아무나 맞아도 될까?…5년간 이상사례 5배↑ | 2024-01-28 |
12 | 쿠키뉴스 | “아동이 건강할 권리, 국가·지자체 책임”… 의료계 법제화 움직임 | 2023-07-09 |
11 | 중앙일보 | "소아과 지키겠습니다"…젊은 의사들의 글, 뭉클한 댓글 몰렸다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