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진료과

뇌하수체센터

진료과 전체

대상 질환

말단비대증, 쿠싱병, 프롤락틴 선종, 뇌하수체 선종, 두개인두종, 뇌하수체염,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중추성 요붕증, 라쓰케씨 낭종

Acromegaly, Cushing’s disease, Prolactinoma, Pituitary adenoma, Craniopharyngioma, Hypophysitis, Hypopituitarism, Central diabetes insipidus, Rathke’s cleft cyst


담당교수

김용휘교수 (신경외과): 뇌하수체 질환의 진단 및 외과적 치료 

김정희교수 (내분비대사내과): 뇌하수체 질환의 진단 및 내과적 치료

매주 월요일 암병원 지하 1층 뇌종양센터 다학제 진료 


소개

 뇌하수체센터는 뇌하수체종양 및 그 주변부위에 발생한 질병의 신속한 진단과 최상의 치료를 위해 내분비대사내과 의료진과 신경외과 의료진이 동시에 동일한 진료실에서 다학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은 뇌 조직 중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모든 양성 종양을 의미하지만, 대부분 뇌하수체 선종이며 그 외 두개인두종, 터키안 주변종양이 있습니다. 이 뇌하수체 선종 중에 성장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는 말단비대증,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과다분비되는 쿠싱병, 유즙분비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프로락틴 선종이 있습니다. 수술적 혹은 약물 치료로 완치가 되기도 하지만, 치료가 어려운 경우 다양한 치료 방법이 필요하며 본 센터는 이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난치성 뇌하수체 종양 환자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호르몬 과다 분비의 합병증과 종양 자체 혹은 수술 후 호르몬 결핍이 발생하는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나 다음, 다뇨 증세를 보이는 중추성 요붕증 등은 평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본 센터는 전인적 접근을 통해 최적화된 진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