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클리닉

신경계희귀질환(뇌혈관질환) 클리닉

클리닉 전체

담당교수

신경과 이승훈 교수

신경과 외래 간호사실 02-2072-3276


대상질환

- 카다실(CADASIL: Cerebral Autosomal Dominant Arteriopathy With Subcortical Infarcts and Leukoencephalopathy)

- 항인지질항체증후군(APS: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소개

 뇌졸중은 국내에서 사망률 3위를 차지하고, 노인에서는 1위의 신체 장애 원인 질환일 정도로 흔한 노인성 질환입니다. 하지만, 희귀 뇌졸중 질환은 빈도는 일반적인 뇌졸중 보다는 빈도는 훨씬 적지만,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서 호발하고, 원인을 제대로 찾지 못할 경우 평생 잦은 재발과 장애에 노출되게 하며, 심한 경우에는 원인을 모른 채 사망하게 하기도 합니다. 국내에서 비교적 흔하면서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 절차에 외면 받아온 많은 희귀 뇌졸중 질환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카다실(CADASIL, Cerebral Autosomal Dominant Arteriopathy With Subcortical Infarcts and Leukoencephalopathy), 항인지질항체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은 최근 많은 임상 연구의 발전으로 인해, 그 진단이 매우 간결해지고, 치료방법도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이 질환들은 분명한 유전적 이상 혹은 자가면역성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뚜렷한 직관과 지식을 가진 경험 많은 임상의사가 진단하고, 부단한 관리를 받을 경우 환자들의 예후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아질 기회가 있습니다. 이승훈 교수는 많은 임상 경험과 연구로 이렇게 세 가지 질환에 대한 집중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판단아래 이 세 가지 질환을 담당하는 클리닉을 국내에서 최초로 개설합니다. 본 클리닉으로 인해 국내에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더 많은 희귀 뇌졸중 환자들이 이전보다 나은 치료를 받게 되기를 바랍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 환자 확인을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료카드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