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암검사정보

유방암 자가검진

조회수 : 13524 등록일 : 2017-09-29

유방암은 우리나라에서 2001년 이후 여성암 중 발생률이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자신의 유방을 관찰하고 만지는 과정에서 작은 변화를 발견할 수 있기에 자가검진에 의한 조기발견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많은 유방암은 자가검진을 통해 발견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가검진법은 본인이 직접 자신의 유방을 만져보는 검사로 간단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국 유방암 학회는 자가검진을 매월 1회씩 다음과 같이 권장하고 있습니다.


연령별 조기검진 권고안

① 30세 이후: 매월, 유방 자가 검진

② 35세 이후: 2년 간격, 의사에 의한 검진

③ 40세 이후: 1-2년 간격의 임상 진찰과 유방촬영

• 유방암 자가검진은 매달 한 번

• 폐경 전 여성은 월경이 끝난 1주일 후

• 폐경 후 여성은 매월 1일에 자가검진 


유방암 자가검진법

 먼저 거울 앞에 서서 양쪽 유방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 유방의 양쪽 크기가 다른지,

• 피부에 주름이 잡혀있는지,

• 움푹 들어가는 부분은 없는지,

• 유두에서 분비물이 있는지를 관찰합니다.

 거울 앞에서 양 손을 깍지 끼워 머리 위에 얹고 머리를 앞으로 밀어봅니다. 유두의 위치가 다른지, 유방에 깊이 파인 부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은 양손을 양 허리에 고정시키고 거울을 향해서 팔과 어깨를 앞으로 내밀며 고개를 숙입니다.

 왼쪽 팔을 들고 오른손 손가락 끝으로 왼쪽 유방을 힘 있게 누르면서 멍울이 있는지 찾아봅니다.

 부드럽게 유두를 짜서 진물이나 핏빛의 분비물이 있는지를 보시고 분비물이 있다면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4, 5번의 방법을 반대쪽 유방에서도 똑같이 시행합니다.

⑥ 4, 5번의 방법을 누워서도 시행합니다. 왼쪽 어깨 밑에 베개나 타월을 접어서 받치면 유방이 편편하게 되어 자가검진을 하시기가 좋습니다. 반대쪽 유방에도 똑같이 시행합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