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서울대병원,‘서울책임의료기관 필수보건의료 원외대표협의체’ 개최

조회수 : 5737 등록일 : 2024-06-24

- 서울책임의료기관 및 필수의료제공 유관기관과 함께 주요 사업 및 발전 방안 논의


 서울책임의료기관 필수보건의료 원외대표협의체.
[사진1] 서울책임의료기관 필수보건의료 원외대표협의체

  서울대병원 공공부문은 지난 13일 ‘2024년 서울책임의료기관 필수보건의료 원외대표협의체 운영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보건소 등 정부 기관과 지역책임의료기관, 서울시의사회, 서울시간호사회 등이 한자리에 모여 2024년 각 기관의 주요 사업 현황과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권역책임의료기관인 서울대병원에서는 소아전문응급선별 시스템 구축 사업 ‘아이아파’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아파’는 소아경증환자의 응급실 내원 예방과 36가지 증상 선별을 통한 소아응급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 개발된 소아전문응급선별 시스템이다. 서울대병원은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서울시에 홍보 협조를 요청했으며, 서울시에서는 대형 전광판 등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
[사진2]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사업 관련 현황 및 발전 방안 논의 


  또한 지역책임의료기관에서는 ▲서울 동남권 장기요양 손위생 증진사업(보라매병원) ▲서울 동북권 기초조사연구(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사업(서울적십자병원) ▲서울 서남권 지속가능 재활 네트워크 구축사업(서울특별시 서남병원) 등에 대해 소개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현안에 대해 유관기관이 함께 고민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외에도 기타 유관기관에서는 정신응급환자의 이송 및 진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의에 참여한 각 기관에 지속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임재준 서울대병원 공공부원장은 “향후 지속적인 협의체 개최를 통해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지연 서울시 공공의료추진단장은 “앞으로도 각 기관의 사업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원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이는 서울책임의료기관 원외대표협의체는 서울권역 필수의료 현황을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정례 회의로, 연 2회 주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