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비만인 젊은 남녀, 관상동맥질환 예방 위해 체중관리 신경 써야!

조회수 : 10746 등록일 : 2018-07-12

-  서울대병원 연구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활용, 20~30대 남녀 체중    변화와 관상동맥질환 상관성 연구
-  사망원인 1위 관상동맥질환, 고도비만이면 발생 위험 최대 97% ↑ 
-  적정체중으로 감량시, 위험 34%까지 ↓

  20~3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층도 비만일 경우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 (제1저자 최슬기 연구원)은 이 연구결과를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국제학술지인 미국 내과학회지 (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했다.

  비만은 관상동맥질환(심장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체중 감량을 했을 때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줄어드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20~30대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3년과 2004년~2005년 각 기간 중 1번씩 총 2회 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남녀 2,611,4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과체중(BMI 23.0-24.9)인 남성은 정상체중(BMI 18.5-22.9)인 남성보다 관상동맥질환 위험이 1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비만(BMI 25.0-29.9)인 경우엔 45%, 고도비만(BMI 30.0 이상)인 경우엔 97%까지 올라갔다.*BMI는 WHO기준

  여성에서도 과체중(34%)이나 비만(52%) 혹은 고도비만(64%)을 가진 경우 관상동맥질환 위험이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비만인 젊은 성인이 적정체중(BMI 23.0 미만)으로 체중감량에 성공했을 땐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남자에서 23%, 여자에서 34%까지 감소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가슴 속 작은 근육 덩어리인 심장은 끊임없이 뛰며 몸 구석구석에 혈액을 내보낸다. 심장은 자신의 운동을 위해 혈액이 필요한데 심장근육에 혈액을 보내는 혈관이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질환은 이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과 협심증이 대표적이다. 이 질환들은 대부분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상민 교수는 “관상동맥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의 질환으로, 1990년에서 2020년까지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최대 2배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비교적 젊은 성인 남녀에서도 비만과 체중증가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도를 높이며, 체중감량을 통한 적정체중 조절이 관상동맥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젊더라도 관상동맥질환 예방을 위해 체중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