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전립선비대증 수술해야 할까? 빅데이터가 알려준다

조회수 : 8932 등록일 : 2017-07-28

전립선비대증 수술해야 할까? 빅데이터가 알려준다
- 서울대병원, 데이터중심 수술진단 프로그램 개발
- ‘요역동학검사’ 10년간 임상자료 기반으로 예측성 높여
- 적정진료 통한 의료재원 건전화에 기여
 

“전립선비대증 수술여부, 이제는 빅데이터에 맡기세요”

서울대병원 비뇨기과 오승준 교수팀이 전립선비대증 수술여부를 확률로 계산해주는 의료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50대 이상 남성이 흔히 겪는 전립선비대증은 중·노년층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질병 중 하나이다. 주로 소변을 보기 힘들거나, 소변보고 나서 잔뇨감, 빈뇨, 절박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지 않은 경우 경과를 지켜보거나 약물치료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수술을 실시한다. 지금까지는 수술 여부를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이  의료진의 자의적 해석이 개입될 여지가 많았다.

 전립선비대증의 진행 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선 ‘하부요로폐색’ 정도를 살펴봐야 한다. 진단에는 요도를 통해 방광까지 도관을 넣어 요류와 압력을 측정하는 ‘요역동학검사’가 필요한데,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이번 프로그램은 서울대병원에서 10여 년간 체계적으로 축적된 ‘요역동학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중요 판단지표인 나이, 최고요속, 잔뇨량, 전립선부피를 입력하면 ‘하부요로폐색’ 정도와 ‘수술필요 확률’을 수치화 해준다.

 오승준 교수는 “수술판단이 지연되거나 불필요한 수술을 하면, 전체 치료기간이 늘어나 의료비용이 낭비 된다”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적정진료가 이뤄지면, 의료보험 재원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병원은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료에 참고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의료진들이 사용하는 의료기기로 분류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추진 중에 있으며, 향후 미국시장에도 상용화할 예정 이다.

 연구팀은 최근 국제 신경비뇨기과 저널(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에 개발 전 과정을 담은 논문을 게재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