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부정맥 예방하는 안전한 심장수술법 개발

조회수 : 8254 등록일 : 2017-05-12

부정맥 예방하는 안전한 심장수술법 개발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이정렬 임홍국 김용진 교수팀
부정맥 예방 새 심장수술 결과 18년간 안전성 입증 세계 최초 보고
 

(왼쪽부터)이정렬, 임홍국, 김용진교수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이정렬 교수팀(임홍국, 김용진)은 부정맥을 예방할 수 있는 심장수술을 고안해 18년간 장기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심실이 하나뿐인 심장기형 환자는 저산소증 해소와 운동 능력 유지를 위해 폰탄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 수술은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보이는 부정맥이 자주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다. 

** 폰탄수술 : 몸을 돌고온 피가 우심방→우심실→폐로 가야하는데  
    (심실없이) 우심방    →    폐로 직접 연결하는 수술


  이 교수팀은 단심실 환자 27명에게 부정맥을 예방하는 새로운 폰탄수술을 시행했다. 18년간 추적한 결과 부정맥으로 인한 사망이 없었고 수술 관련 합병증이 없었다. 심박수가 빨라지는 빈맥환자 2명은 약물치료로 호전됐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도 속도가 느린 연결관 차단을 위해 관상정맥동까지 우심방 절개 연장 ▲우심방 절개 부위와 삼첨판륜 사이 냉동절제 ▲수술 봉합시 우심방 분계릉 손상을 피해서 차단막 설치 ▲봉합선을 줄이기 위해 고어택스 패치를 샌드위치 기법으로 절개 부위에 봉합 등의 창의적이고 간결한 수술방법을 시도했다.  

  이 연구는 지난달 ‘미국흉부외과학회지(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사진설명>
사진左; 수술과정  
사진右; 수술후(붉은색이 우심방을 폐동맥으로 연결한 관)

(왼쪽사진 하단 부분)
 A. 우심방 절개를 관상정맥동(CS, coronary sinus)까지 연장하고 봉합
 B. 우심방 절개 부위와 삼첨판막(TV, tricuspid valve) 사이를 냉동절제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