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2013. 10. 23 노동조합의 파업에 대한 병원의 입장

조회수 : 5252 등록일 : 2013-10-23

2013. 10. 23 노동조합의 파업에 대한 병원의 입장

  올해 6월 27일 첫 교섭을 시작으로, 병원과 노동조합은 40여회의 교섭을 해왔으며, 두 차례에 걸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에 노동조합에서는 23일 새벽 5시부터 파업을 하여, 이에 대한 서울대병원의 입장을 말씀 드립니다.

  노동조합의 요구는 13.7%의 임금인상,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포함한 다수의 인력충원, 선택진료비 폐지를 비롯한 의료공공성 강화 등 입니다. 또한, 소속직원의 70% 요구 시 관리자 교체 등 병원의 인사경영 전속권한을 침해하는 요구를 하고 있으며, 정부의 개선안 요구(진료비 감면 대상 및 비율 축소 등)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였습니다.

  서울대병원은 올해 680억원의 적자가 예상되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는 등 경영여건이 크게 악화되어, 노동조합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한 환자 증가추세의 정체 및 구조적인 저수가 문제와 더불어 정부의 보장성강화 정책으로 인한 병원경영 여건의 지속적인 악화가 예측되는 상황입니다.

  병원은 경영여건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체적인 예산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수의 선택진료수당을 30% 차감 지급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만, 경영여건 개선이 매우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렇지만, 일부에서 주장하는 검사실적 증가 및 진료재료를 싼 것으로 교체사용 지시 등은 사실과 다른, 있을 수 없는 일임을 이 기회에 다시 말씀드립니다.

  서울대병원은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유지업무의 기능 정상화를 비롯하여, 환자분들의 진료에 차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후에도 노동조합 측과의 교섭을 통하여 조속히 파업이 종료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