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신간소개] 전립선 질환의 영상

조회수 : 5995 등록일 : 2011-06-03

[신간소개] 전립선 질환의 영상

신간  1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 전립선암 환자가 오늘날 처럼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한 이는 많지 않았다.  앞으로 10년 후에도 얼마나 많이 증가할 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오늘날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같이 흔하면서 중요한 남성암이 될 것이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전립선 질환의 검사 영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 ‘전립선질환의 영상’이 출간됐다. 서울대학교병원 비뇨기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의사들이 함께 모여 집필한 이 책은 전립선 질환의 증상, 원인, 진단과 같이 기본적인 정보에서부터 질환의 전산화단층활영[CT],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 검사 등 각종 검사의 영상과 소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다.

  총 11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 임상적인 측면에서 바라 본 전립선과 정낭의 양성질환, 2장 임상적인 측면에서 바라 본 전립선암, 3장 전립선 질환의 병리, 4장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 기법과 정상 소견, 5장 전립선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기법과 정상 소견, 6장 전립선비대증, 7장 전립선암의 초음파 소견, 8장 전립선 자기공명영상, 9장 기타 전립선 종야, 10장 전립선 및 정낭의 염증성 질환, 11장 경직장 초음파 유도하 전립선 생검 을 다루고 있다.

  김현회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전립선센터장]는 “늘어나는 전립선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비뇨기과, 영상의학과, 병리과의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 며 “이 책은 각 과의 전문가들이 뜻을 모아 전립선 질환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전립선 질환을 공부하는 의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