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산부인과 진단적 복강경술 20,000례 달성

조회수 : 2138 등록일 : 2005-09-14

산부인과 진단적 복강경술 20,000례 달성

산부인과 진단적 복강경술 20,000례 달성 기념회 단체사진

서울대병원 산부인과의 진단적 복강경술 20,000례 달성을 기념하는 모임이 9월 14일 임상의학연구소에서 있었다. 이날 기념식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복강경을 이용한 불임수술법’을 도입한 장윤석 서울대 명예교수와 성상철 서울대병원장을 비롯한 많은 인사들이 참석해 20,000례 달성을 축하했다.

197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진단적 복강경술은 초기에는 불임시술인 난관결찰술에 주로 시행됐으며 이후 불임과 관련된 질환과 자궁 외 심신 등을 진단하는 도구로 활발히 사용됐지만, 최근 그 적응증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산부인과에서 1973년부터 1994년까지 시행한 진단적 복강경술 11,665례와 그 이후에 시행한 8,335례의 적응증을 분석한 결과, 초기에는 주로 일차성 및 이차성 불임과 난관결찰술 등 불임관련 검사와 시술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반면, 최근에는 골반종괴와 자궁내막증 및 골반통 등 부인과 질환이 적응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단적 복강경술 이후 환자의 진단이 변경된 경우가 9%에 달하였던 것으로 나타나 진단적 복강경술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진단적 복강경술은 환자에게는 입원의 번거로움이나 부담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초음파나 다른 영상장비에 비해 더욱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어 치료방침을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날 산부인과 강순범 교수는 “단일기관에서 이룬 20,000례 달성은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운 업적이기에 더욱 자랑스럽다.”며 “지금까지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더 우수한 진료의 밑거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