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분야 : 신증후군, 유전성신장질환, 신장이식, 소아이식, 사구체신질환, 만성콩팥병, 선천성 신증후군, 알포트 증후군, IgA 신병증, 용혈 요독 증후군, 바터 증후군, 덴트병, 수분-전해질이상, 신장질환
구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어린이 병원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클리닉 |
-
나의 전문 분야
- 어린이, 청소년의 콩팥병(신장질환)의 진단과 치료, 관리를 담당하며, 신증후군과 이식, 유전성 신질환이 전문 분야입니다.
나의 연구 분야(2)
- 어린이의 신증후군은 대개 스테로이드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일부에서는 2차, 3차 약제가 필요합니다. 신증후군 환자의 진단 당시 혈액의 특성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맞는 치료제를 선택하는 맞춤치료를 하는 것을 목표로 신증후군의 치료반응 예측 바이오마커를 연구합니다.
- 신장이식을 받은 어린이, 청소년들과 만성콩팥병을 앓고 있는 소아청소년에서 신장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합병증,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합니다.
인터뷰
환자의 동반자가 되고 싶습니다.Q. 현재 진료분야를 선택하신 이유가 있다면?
소아(과)는 애기들이 조금 좋아지면 뛰어다니거든요. 그래서 같이 기뻐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게 소아과의 특징인 것 같아요. 소아과를 선택하게 된 거에 대해 굉장히 감사하게 생각하고, 한 번 소아신장환자가 된 환자들은 많은 분들이 계속 성인 신장(질환)으로 넘어갈 때까지 계속 같이 가야 되는데 이 환자가 자라는 걸 지켜보고 내가 뭔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좋은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Q. 관심 갖고 있는 연구나 진료 분야는?
제가 주로 관심이 있는 질환은 신증후군하고 소아이식인데요. 신증후군은 약이 잘 듣는 경우도 있고, 약이 영 안 들어서 콩팥 기능이 나빠져서 이식까지 하는 경우도 있고, 이식을 한 후에도 재발하는 안타까운 경우들이 있는데, 그 전 치료하는 과정에 스테로이드도 많이 써야 되고 과정이 굉장히 길고 해서 힘이 들거든요. 그래서 제가 연구를 하는 것은 환자들이 이런 저런 약의 부작용을 겪지 않고 처음부터 자기한테 딱 맞는 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자들을 처음부터 발견해 주는 게 저의 연구의 목적인데 아직 갈 길이 멀었고요. 그 다음에는 신증후군이나 이식한 환자들이 이 병과 함께, 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 저의 목표이고 관심입니다.
Q. 환자(보호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네, 콩팥 질환은 떨치고 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고요. "같이 갑시다." "소아신장질환이라는 배를 어차피 다 같이 탔는데 이 항해를 순조롭게 할 수 있도록 같이 도우며 가자"고 말씀을 드리고요. 캠프 같은 걸 가면 환자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위안이 "나만 이렇지 않구나" 이런 거고 또 "내가 너무 다 제한하고 하던 게 꼭 그럴 필요가 없구나." 그런 것들을 느끼고 가시는데 제가 백 마디 하는 것보다 캠프 같이 가서 재미있게 놀고 느끼고 하는 게 더 좋은 걸로 보이고요. 드리고 싶은 말씀은 "잘 할 수 있다! 우리 같이 갑시다!" 결국은 그거인 것 같아요. -
진료 전 유의사항
신장
소변검사 결과 이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소아청소년은 아침 첫소변 검사가 필요합니다. 병원에 오기 전날 잠들기 직전에 소변을 보아 방광을 비우고,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소변을 보아서 그 소변을 받아오시기 바랍니다. 바로 비운 생수병에 담아오시면 됩니다.
진료 예약 시 유의사항 (2)
신장
학교 건강검진 또는 간이 소변검사에서 발견된 요잠혈, 요단백(신장질환 의심)의 경우 인근병원에서 혈뇨나 단백뇨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혈뇨나 단백뇨는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별다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의미있는 혈뇨는 현미경으로 소변을 관찰하였을 때 적혈구가 5개 이상 관찰되는 경우이며, 의미있는 단백뇨는 소변의 단백질 함량을 소변이 농축된 정도를 고려하여 측정하여 소변 총 단백/소변 크레아티닌의 비율이 0.2 mg/mg 이상인 경우입니다. 소아청소년기에는 기립성 단백뇨가 흔하므로 수면 중에 만들어진 소변, 즉 아침 첫소변을 검사하여야 합니다. 위와 같은 의미있는 혈뇨, 단백뇨가 인근 병원에서 3회 이상 검사하여도 지속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소아신장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근의 소아신장전문의는 대한소아신장학회 홈페이지(https://www.kspn.org/question/list.html)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장
※ 예약은 현재 진료중이신 의료기관의 진료협력센터를 통하여 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센터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T. 02-2072-1000). (초음파 검사는 예약이 필요한 검사이므로 보호자께서 미리 상담하시고 검사 예약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고혈압은 진료하지 않습니다.
-
학력/경력 (22)
- 2001 ~ 20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의학박사
- 1999 ~ 20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의학석사
- 1992 ~ 199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의학사
- 2017. 9.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4. 7. ~ 현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콩팥센터장
- 2014. 7. ~ 현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신장분과 분과장
- 2012. 3. ~ 2017. 8.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부교수
- 2008 ~ 2012. 2.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교수
[학력]
[경력]
-
논문 (297)
- The long-acting c5 inhibitor, ravulizumab, is effective and safe in pediatric patients with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naive to complement inhibitor treatment.
- A premature baby with severe oligohydramnios and hypotension: a case report of renal tubular dysgenesis.
- Dyslipidemia in pediatric ckd patients: results from know-pedckd (korean cohort study for outcomes in patients with pediatric ckd).
- Remission of proteinuria may protect against progression to chronic kidney disease in pediatric-onset iga nephropathy.
- Integrated analysis of tissue-specific promoter methylation and gene expression profile in complex diseases.
Pubmed URL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3307104/
Pubmed URL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2808512/
Pubmed URL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2232640/
Pubmed URL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2629965/
Pubmed URL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2709145/
잠깐! 세부전공을 확인해 주십시오.
- 정확히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 예약센터(1588-5700)로 문의후 예약해 주세요.
- 진료 분야가 맞지 않게 예약된 경우, 진료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세부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