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배너
본문으로 바로가기

N 의학정보

굴절 및 조절의 장애
[disorder of refraction and accommodation]

한 줄 설명

초점을 맞추는 눈의 기능에 장애가 온 것

진료과 ?해당 과를 클릭 하면진료과로 바로 연결됩니다.

안과

관련
신체기관

관련 질병

원시, 근시, 난시, 노안

정의

굴절(refraction)은 빛이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통과하면서 생기는 빛의 방향 변화를 일컫는 말로, 정상 눈(정시안)의 경우에는 각막 및 수정체에서 굴절된 빛이 망막에 정확한 상을 맺게 된다. 굴절장애는 빛의 굴절에 문제가 있어 난시가 되거나 근시, 원시 등으로 초점이 망막에 맺히지 못하는 장애이다. 눈에서의 조절 기능이란 대상을 뚜렷이 볼 수 있게 거리의 초점을 맞추는 기능이다. 조절장애는 대표적으로 노안과 같이 먼 거리에 비해 가까운 게 잘 안 보이거나 먼 거리 및 근거리의 주시변화 따라 초점을 맺는 게 느려지고 제한이 오는 경우이다.

원인

굴절 장애의 대표적인 원인은 원시, 근시, 난시이며, 조절 장애의 대표적인 원인은 노안 (노시)이다.

정시, 근시, 원시의 굴절상태

증상

굴절 및 조절의 장애가 있을 경우, 사물의 상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지 않아 또렷한 상을 얻을 수 없으므로, 시력이 떨어지고 눈이 피로하며 시야가 흐려지게 된다. 특히 조절 장애의 경우 먼 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 것이 잘 안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진단/검사

먼저 시력검사를 시행하여 정상 시력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3m 이상에서의 원거리 시력과 40cm에서의 근거리 시력을 각각 측정한다. 원거리 시력이 1.0 이상인데 근거리 시력이 나쁘면 원시나 노시를 예상할 수 있으며, 원거리 시력이 1.0 이하면서 근거리 시력이 정상이라면 근시로 본다. 원시나 근시, 난시의 정도는 디옵터(diopter)로 나타내며, 굴절 이상 정도는 굴절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치료

망막에 정확한 상을 맺도록 돕기 위한 여러 보조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안경착용, 콘택트렌즈 착용, 굴절 교정 수술(라식, 라섹, 유수정체인공수정체 삽입술), 돋보기 착용 등이 있다.

경과/합병증

대부분 근시는 성장하면서 더 진행되어 시력이 점점 나빠지며, 나이가 들어 노시(노안)가 왔을 경우에도 연령 증가에 따라 조절력이 함께 떨어지게 된다. 은행, 관공서 등에 50대, 60대, 70대 등 연령대별로 돋보기를 구분하여 다양하게 준비해 놓는 것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절력이 떨어져 더 높은 도수의 돋보기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방방법

만 3세가 되면 안과검진을 받아 굴절 이상 여부를 보고, 이상이 있을 경우 적절한 안경으로 교정해 준다. 도수에 맞지 않는 안경을 쓰거나, 너무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은 피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굴절 및 조절의 장애가 있어 잘 보이지 않는데도 적절한 교정 없이 억지로 보려고 하면 눈의 피로가 증가하게 되며, 특히 유아의 경우는 향후 약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시력 장애가 있을 때에는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한번 안경이나 렌즈를 처방 받았더라도 6개월에 한 번씩 굴절 검사를 시행하여 변화 여부를 보도록 한다.

관련질병

원시, 근시, 난시, 노안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료법 시행령 제 42조 2,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에 의거하여 진료예약환자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사유 : 진료회원 인증
- 개인정보 항목 : 주민등록번호
- 수집근거 :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15조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