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과 기생
촌충감염
리본처럼 생겼으며, 설사와 복통을 일으킨다.
생활습관 : 덜 익은 고기나 날고기를 먹으면 감염될 수 있다.
연령, 성별, 유전 : 주요 위험 요인이 아니다.
돼지에 기생하는 갈고리촌충, 소에 기생하는 민촌충, 생선에 기생하는 넓은마디촌충, 이 세 종류가 인체에 감염된다. 대개 유충이 묻은 고기나 생선을 날것으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으면 발생한다. 유충이 장에서 성충으로 성숙하는데 그 길이가 6-9m에 이른다. 대변으로 충낭이 배설되며 갈고리촌충은 다시 감염되기도 한다. 어떤 촌충류는 인체에서 서서히 자라는 포충낭으로 서식한다. 개발도상국에서는 갈고리촌충이나 민촌충에 주로 감염되며 생선회를 즐겨먹는 동유럽이나 스칸디나비아, 일본에서는 넓은마디촌충에 잘 감염된다.
생활습관 : 덜 익은 고기나 날고기를 먹으면 감염될 수 있다.
연령, 성별, 유전 : 주요 위험 요인이 아니다.
돼지에 기생하는 갈고리촌충, 소에 기생하는 민촌충, 생선에 기생하는 넓은마디촌충, 이 세 종류가 인체에 감염된다. 대개 유충이 묻은 고기나 생선을 날것으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으면 발생한다. 유충이 장에서 성충으로 성숙하는데 그 길이가 6-9m에 이른다. 대변으로 충낭이 배설되며 갈고리촌충은 다시 감염되기도 한다. 어떤 촌충류는 인체에서 서서히 자라는 포충낭으로 서식한다. 개발도상국에서는 갈고리촌충이나 민촌충에 주로 감염되며 생선회를 즐겨먹는 동유럽이나 스칸디나비아, 일본에서는 넓은마디촌충에 잘 감염된다.